[사설] 청와대 개편 틀보다 사람에 달렸다

입력 2010-07-07 17:51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청와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청와대는 배경 설명에서 이번 조직개편의 초점이 국민과의 소통 강화, 미래 준비, 서민 체감 정책 개발과 집행 등 3가지라고 밝혔다. 여권에 예상 밖의 참패를 안겨준 6·2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수용하고 국정 기조인 친서민 중도실용 노선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다.

지방 정부가 대거 야권의 영향력에 들어가 중앙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진보적 교육감들이 기존 교육정책에 브레이크를 거는 등 정치·사회적 갈등이 커지는 상황에서 사회통합수석실을 신설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또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소득 계층 간 양극화 현상과 이에 따른 사회불안 등을 감안할 때 복지와 서민정책 조직에 비중을 둔 것도 의미가 있다. 집권 전반기 청사진을 그린 국정기획수석을 없애고 미래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미래전략기획관을 신설한 것도 시기적으로 적절한 조치라고 하겠다.

청와대의 설명대로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이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를 맞는 시점에서 새로운 정책 방향에 맞춰 국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급속한 레임덕 현상으로 인해 집권 후반기 국정을 제대로 이끌어가지 못한 역대 정권의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새 조직에 기용될 청와대 참모들의 진용과 조직 운용 시스템에 더욱 주목하게 된다. 조직개편이 능사가 아니라 지근거리에서 대통령을 보좌할 참모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어떻게 일을 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최근 민간인 사찰 논란으로 빚어진 이른바 ‘영포회’ 의혹에 연루된 청와대 비서관은 보고라인을 무시하고 월권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청와대가 직제에 따라 움직이는 조직이 아니라 보스와의 개인적 인연과 친분에 따라 권한을 행사하는 사조직과 다른 게 뭐냐는 비판을 받기 충분하다.

새로운 청와대 조직이 국민의 신뢰를 받고 힘을 얻어 국정 운용을 제대로 하려면 후속 인사에서 ‘코드 인사’, ‘연고 인사’가 아니라 제대로 된 인물들을 기용해야 할 것이다.

뒤이어 예정된 개각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