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청와대 조직개편… MB 후반기 국정 3대 포인트 ‘소통·서민·관리’
입력 2010-07-08 01:25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기조는 소통과 서민정책으로 요약된다. 임기말 권력누수 현상(레임덕)을 최소화하면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 소통의 폭을 넓히고 상대적으로 소외받았던 계층들을 끌어안는 데 주안점을 두겠다는 의미다.
이 대통령이 7일 단행한 청와대 조직개편에서 이런 구상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서민, 소통, 관리로 모아진다. 가장 눈에 띄는 지점은 사회통합수석 신설이다. 산하에 국민소통비서관실도 새로 만들었다. 이동관 홍보수석은 “각계의 목소리를 열린 마음으로 청취하기 위해 신설했다”며 “사민사회단체와 소통을 확대하고 사회통합을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4대강 사업을 둘러싼 종교단체와의 갈등, 시민사회단체와의 불통 등으로 ‘이명박 정부=불통 정부’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다.
서민도 강조됐다. 사회정책수석은 사회복지수석으로 문패를 바꿔 달았고, 산하에 서민정책비서관실이 신설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훌륭하게 극복했는데, 국민들의 피부로 느끼는 살림살이는 나아지지 않았고,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데 따른 조치”라고 말했다.
정책실장의 권한이 강화된 점도 변화다. 정책실장은 밑에 정책지원관과 국제경제보좌관을 두고 경제수석, 사회복지수석, 교육문화수석, 미래전략기획관실을 총괄하게 된다. 조직개편 이전 정책실장이 단순한 조정 역할이었다면, 위상이 강화된 정책실장은 경제 사회복지 정책을 실질적으로 총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정기획수석이 폐지된 것은 집권 후반기에 새로운 사업을 벌이기보다는 진행 중인 정책을 제대로 관리하고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지로 읽힌다.
조직개편이 완료됨에 따라 청와대 인적 개편과 개각도 탄력을 받고 있다. 정정길 대통령실장 후임에는 임태희 노동부 장관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8일 공식 발표된다. 정책실장에는 박재완 국정기획수석과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이 거론되고 있다. 정무수석과 홍보수석에는 김두우 메시지기획관과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물망에 올라 있다. 수석 인사도 이르면 11일 단행될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개편과는 달리 개각 작업은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청와대는 몇 차례 사의를 표명한 정운찬 총리의 후임 인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인물난을 겪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총리 인선은 7·28 재·보선 이전에 가능할 수 있겠지만, 장관 인선은 8월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인적 쇄신을 마무리하고, 8월 15일 광복절 또는 8월 25일 임기 반환점을 맞아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방안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