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케이블카 백지화에 ‘무게’
입력 2010-07-07 18:11
제주지역에서 40년 넘게 논란을 빚어 온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문제가 우근민 도정에서 결론이 날 전망이다.
7일 우근민 제주도지사직 인수위원회가 공개한 활동보고서에 따르면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문제와 관련, “한라산이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는 등 상황 변화가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한라산 삭도설치 타당성 조사보고서(2000년)에서 최적의 대안으로 제시된 영실노선은 환경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경제적 수익성 여부만으로는 설치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하다”면서 “제주도에서 제시한 수준의 검토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도민적 합의가 고려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보고서의 이러한 제안은 제주가 지향해야 할 정책방향이 개발과 보존의 조화인 만큼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재추진으로 세계자연유산인 한라산 보전정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서는 안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사실상 한라산 케이블카 40년 논쟁에 종지부를 찍으라는 것이다.
우근민 도지사 역시 6·2지방선거 과정에서 한라산 케이블카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제시한 뒤 도민여론을 수렴한 후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라산 케이블카 건설 논의는 1960년대 말부터 시작됐지만 본격적으로 찬반 논란이 불거진 것은 제주도가 한라산 환경보호를 위해 케이블카를 설치해야만 한다고 주장한 1998년이다. 당시 도지사는 우근민 지사였다.
이후 케이블카 찬성 측은 등산객으로 인한 환경 훼손을 줄이고 장애인 등의 등산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논리로, 반대 측은 케이블카는 환경시설이 아닌 이용시설이며 케이블카로 인해 환경 훼손이 오히려 더 심해진다고 주장하며 맞서왔다.
김태환 전 지사는 지난해 환경부가 국립공원 규제완화를 추진하자 한라산 케이블카 건설 타당성 검토를 시작하며 논란을 재점화시켰다. 한라산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