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세 낙관하던 정부, 해외변수에 ‘신중 모드’로
입력 2010-07-06 21:48
회복세가 뚜렷하던 우리 경제가 하반기 주춤할지 모른다는 조심스러운 시각이 정부 내에서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은 유럽 재정위기 등의 부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획재정부는 6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보고서를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과 내수 호조가 지속되고 고용 회복세가 강화되는 가운데 물가도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유럽 재정위기의 장기화, 미국과 중국의 경기둔화 가능성 등 세계경제 회복에 대한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1분기 성장률이 2.7%(전기비연율)로 하향 수정됐고, 고용시장과 주택시장의 지표가 부진했다. 중국은 내수와 수출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산업생산 증가율과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2개월 연속 하락하는 등 경기 상승세가 다소 악화됐다.
이 때문에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 향후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선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월까지 5개월 연속 하락해 경기 둔화를 예고하고 있다.
정부가 발행하는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 17일 연중 최저치인 73bp(1bp=0.01% 포인트)까지 떨어졌던 CDS 프리미엄은 이달 들어 130bp대를 유지하고 있다. CDS 프리미엄은 높을수록 부도 위험이 크다고 여겨진다.
이런 가운데서도 IMF는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IMF는 이날 재정부에서 한국 정부와의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한국은 민간부문 중심의 경제 활동이 증가해 올해 5.75%, 내년에는 약간 둔화해 5% 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에 전망한 올해 성장률 4.5%, 내년 5.0%를 상향 조정한 것이다.
IMF는 유럽 재정위기로 우리 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에 대해 “유럽 재정위기와 한반도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이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예상보다 빠르게 한국의 시설투자와 재고율 증가가 회복돼 균형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IMF는 정책 금리인상 등 단계적 출구전략 시행을 주문했다. 통화정책이 경기회복 지원에 필요한 수준 이상으로 확장적이라고 강조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