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선거제 대수술… 선거구 50개 줄여 600개로…선호투표제 도입
입력 2010-07-06 18:42
영국 연립정부가 대대적인 선거제도 개혁에 나섰다. 의원 수 감축과 선거구 재조정 등이 핵심이다.
자유민주당 소속인 닉 클레그 부총리는 5일(현지시간) 하원에 출석해 650개 선거구를 600개로 줄이고, 선호투표제(Alternative Vote)를 도입키로 했다고 밝혔다고 영국 BBC방송이 보도했다.
선호투표제는 현재 호주에서 채택하고 있는 제도로, 단순 최다 득표자가 당선되는 기존 선거제도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유권자가 후보들의 선호 순위를 매기고 과반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최하위 후보의 2순위 표를 상위 득표자에게 가산하는 과정을 되풀이해 당선자를 정한다. 기존 양당 체제의 고착화를 막고 사표를 줄이는 효과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자민당은 지난 총선에서 23.3%를 득표했으나 단순 1위 득표자가 적어 전체 650석 가운데 57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자민당은 보수당과의 연립정부 구성 논의 당시 이 같은 선거제도 개혁을 전제 조건으로 내건 바 있다. 연립 정부는 선호투표제 도입을 위한 국민투표를 내년 5월 5일 실시할 계획이다.
연립 정부는 이 밖에 선거구별로 유권자 수가 수십배까지 차이 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2013년까지 선거구를 비슷한 크기로 다시 획정한 뒤 차기 총선일인 2015년 5월 7일에 적용할 방침이다.
또 의회 해산 정족수를 당초 연립정부 출범 때 발표한 55%에서 3분의 2로 높이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클레그 부총리는 “이런 선거제도 변화는 정치를 깨끗하게 만들고 정치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선거제도 개혁이 연립정부 수뇌부의 뜻대로 이뤄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우선 보수당은 단순 다수 득표자 1명을 뽑는 현행 선거제도에 찬성하고 있다. 여기에다 의원 수 축소와 선거구 획정 문제는 기존 현역 의원들의 정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라 엄청난 반발이 불가피하다. 결국 연립 정부의 선거 개혁안은 보수당과 자민당의 연결고리를 끊을 수도 있는 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기능성이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