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불법 사찰 파문] 피해자 김종익씨 인터뷰… “평범한 국민의 삶 송두리째 파괴”
입력 2010-07-06 22:23
민간인 불법 사찰 피해자 김종익(56·사진)씨는 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검찰에 출석해 성실히 조사에 응하겠다”면서도 “사건의 한쪽 당사자인 검찰보다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직권 조사, 감사원 감사, 국정조사 등 좀 더 객관성이 담보된 기구와 절차에 따라 조사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씨는 이번 사건의 본질을 “최고 행정기관인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조직 내부의 위계나 절차가 아닌 탈법으로 평범한 국민의 삶을 송두리째 파괴한 것”이라며 “총리실은 조사 발표 이후에도 전혀 연락이나 사과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에서 ‘노사모’와 자신을 연계시키는 것에 대해 “제가 노사모냐 아니냐는 사안의 본질이 아니다”며 “설사 노사모라고 하더라도 국가가 불법으로 사찰을 해도 되는 것이냐”고 되물었다.
김씨는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자신이 민간인인 줄 몰랐다고 해명한 데 대해 “명백하게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씨는 “국무총리실에서 작성한 ‘진행 상황 보고’ 문건에는 2008년 9월 국민은행 노무팀장을 통해 내가 운영했던 회사의 경영상태를 확인하고 국민은행 인사담당부행장을 면담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라는 지시를 했다는 내용이 있다”며 “이런 내부 문건에도 불구하고 사찰 대상자가 공직자인 줄 알았다고 주장한다면 국민들이 국무총리실을 어떻게 생각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김씨는 불법 사찰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이인규 공직윤리지원관과는 “대면한 적이 없어 대질을 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왜 그토록 잔인하게 한 국민의 삶을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되었는지, 파괴된 제 삶을 어떻게 보상받고 회복해야 하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김씨는 이번 불법 사찰로 사회적 삶이 대부분 파괴됐다고 말했다. 김씨는 “경제적으로 너무 힘든 상황이고 가족들이 국가권력에 대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공포를 느끼고 있다”며 “하루 빨리 경제적 피해보상과 원상회복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