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국제업무지구사업 벼랑끝으로… 코레일, 삼성물산에 “7월16일까지 자금조달案 마련” 최후통첩

입력 2010-07-05 21:51


국내 사상 최대 도심개발 사업인 서울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사업이 무산될 경우 투자자와 출자회사 피해는 물론 수조원대에 달하는 경제·사회적 손실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철도공사(코레일)는 5일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과 관련, “삼성물산이 16일까지 토지 대금에 대한 자금조달 방안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사업 중단도 불사하겠다”며 사실상 최후통첩을 보냈다. 이는 삼성물산 등 17개 건설 컨소시엄이 지난달 말 중도금 전액(4조7000억원)을 준공 때까지 무이자로 연기해주고, 2조원 안팎의 분납 이자를 면제해 달라고 요구한 데 따른 코레일 측의 공식 대응이다.

코레일이 ‘데드라인’을 16일로 못 박은 것은 지난해 사업 시행사가 발행한 8500억원 규모 ABS(자산유동화증권)의 자금 조달을 위해 최소 2개월 전 이사회 결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코레일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만일 사업이 중단된다면 모든 책임은 삼성물산에 있다”면서 “토지 대금은 컨소시엄 구성원들이 지분별 보증 등으로 조달토록 약속돼 있으므로 컨소시엄 대표인 삼성물산이 책임 있게 역할을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코레일은 또 “토지 대금은 사업자 공모 시 경쟁사와 치열한 경쟁 끝에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제시한 금액”이라며 “지난해 10월 말 계약 일부를 변경해줬음에도 불구하고 3개월 만에 또다시 무리한 계약 변경을 요구하는 것은 약속 이행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삼성물산 측은 “토지 대금 조달에 대한 책임을 건설 컨소시엄에만 지울 게 아니라 출자사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면서 “자금조달 방안과 관련해 출자 회사들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사상 최대 민관 합동 프로젝트인 이 사업이 좌초될 경우 투자자들이 납부한 자본금(1조원 규모)이 고스란히 떼일 뿐만 아니라 삼성물산을 비롯한 출자 회사들의 브랜드 가치도 떨어질 전망이다. 장기간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아온 주민들의 집단 반발 및 민원, 용산 일대 집값 폭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총 사업비 30조원 규모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은 2016년까지 한강로3가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일대 53만여㎡를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는 것으로, 2012년 1월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07년 말 삼성물산과 롯데관광개발, 국민연금 등 26개 법인으로 이뤄진 ‘드림허브 컨소시엄’이 코레일 소유 철도정비창 부지에 대한 땅값으로 사업권을 따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어 부동산 경기 침체가 겹치면서 자금조달 방안을 두고 코레일과 마찰을 빚어왔다.

결국 지난해 3월 삼성물산을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이 총 6437억원에 달하는 2차 토지매매 중도금 및 분납 이자와 3차 계약금을 내지 못하는 사태가 빚어졌다. 이에 대해 코레일은 계약금과 분납 비율을 낮춰주기도 했지만 컨소시엄 측은 지난 3월에도 7000억원의 중도금과 계약금을 내지 못하면서 계약 조건 변경 등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됐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