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교통참사가 남긴 숙제
입력 2010-07-04 19:31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으로 통하는 인천대교 부근 고속화도로에서 그제 대형 교통참사가 발생했다. 버스 운전사를 포함한 탑승자 24명이 사상하는 참사가 일어난 것이다. 돌잔치에 가려던 친척과 외국에 있는 친구를 방문하려던 가족이 변을 당해 주변을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이번 참사도 원인을 하나하나 뜯어보면 법과 규정을 지키지 않아 고귀한 생명을 희생시켰다는 지적이다. 우선 사고 버스는 시속 100㎞를 살짝 넘긴 상태에서 운행하다 2차선에 정지된 마티즈를 추돌하고 오른쪽 갓길로 미끌어지면서 철제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추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요금정산소를 통과한 뒤 사고지점 부근의 권장속도는 시속 30㎞ 안팎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마티즈를 추돌한 화물차와 버스보다 먼저 현장을 통과한 베르나승용차는 권장속도를 유지해 마티즈를 피해 간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유족들은 사고지점과 요금정산소까지의 거리가 얼마 되지 않는데 대형 사고가 났다며 분개하고 있다.
스키드마크를 분석해 보면 화물차와 버스가 차간거리를 규정대로 유지했는지도 의문이다. 사고 현장의 철제 가드레일이 다른 도로에 설치된 시멘트 가드레일보다 사고 억지력이 약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교통사고 건수는 2007년 21만1662건, 2008년 21만5822건, 지난해 23만1990건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6166명, 5870명, 5838명으로 다소 줄었지만 부상자는 33만5906명, 33만8962명, 36만1875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사망자 가족들의 정신적 고통, 부상자 치료비, 보상비와 도로복구에 따른 사회적 비용까지 감안하면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규모는 엄청나게 늘어난다. 운전자들이 법과 규정을 지켰다면 이번 참사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교통안전을 책임지는 관련 부처는 모든 운전자를 상대로 안전운전 공익캠페인을 벌이고 도로교통법 위반 사범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