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쇄신연대 본격 출범… 정세균 때리기 본격화
입력 2010-07-04 18:41
8월 말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민주당 비주류가 ‘반(反) 정세균, 당내 민주화’ 기치를 내걸고 ‘민주희망쇄신연대’라는 대규모 연합체를 발족했다.
4일 서울 능동 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린 쇄신연대 출범식에는 정세균 대표와 대립해온 원내외 비주류 인사 등 4000여명이 참석했다.
쇄신연대는 출범 선언문에서 “당내 소통은 단절됐고 당내 민주주의는 묵살됐으며 서민들이 울부짖는 생활정치의 현장 속에서도 민주당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고 정 대표 체제를 비판했다. 또 “민주당을 국민에게, 당권을 당원에게 돌려주기 위한 쇄신운동에 착수해야 한다”며 당의 정체성 확립, 민생정책의 개발과 실천, 당내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전면적 시스템 개편 등을 결의했다.
쇄신연대는 상임고문단, 집행위원단 등 사실상의 지도부 체제를 갖췄다. 전당대회 출마가 예상되는 정동영 천정배 추미애 의원, 박주선 최고위원과 정대철 정균환 전 의원 등 중진급 인사 10여명이 상임고문단에 이름을 올렸다. 또 5선 중진인 김영진 의원이 상임집행위원장을 맡았고 강창일 이종걸 장세환 조배숙 의원 등 원내외 인사 51명이 집행위원단에 포진했다.
쇄신연대는 6∼13일 권역별 ‘당원행동대회’를 열어 전국 조직화에 나설 예정이다. 이들은 공정한 전당대회 룰 마련 등을 위한 혁신기구 구성과 7·28 재·보궐선거 후 지도부 사퇴 등 지난달 30일 의원총회에서 제시했던 요구사항들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당내 서명운동을 비롯한 ‘비상한 행동’에 들어가겠다며 엄포를 놓은 상태다. 일각에선 지도부 체제를 갖춘 쇄신연대 출범에 따라 분당 가능성마저 제기하고 있다.
주류 측은 쇄신연대 출범에 대해 “재·보선을 앞두고 당권투쟁에만 집착한다”며 불쾌한 기색을 감추지 않고 있다.
주류 측 한 의원은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고도 혁신기구를 두자는 게 무슨 얘긴지 모르겠다”면서 “재·보선 이후에도 전대 준비위를 구성해 당내 현안을 정리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비주류 온건파의 한 인사도 “당을 위한 견제는 좋지만 순수성에 의구심이 든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