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표 총장 핵심 프로젝트 ‘온라인 전기차’ 밀어붙일 듯

입력 2010-07-02 22:02


서남표 카이스트 총장이 연임에 성공함에 따라 카이스트의 핵심 정책 업무인 온라인 전기자동차와 모바일하버 사업은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학계에서도 타당성과 실효성 문제가 시끄러워 온전하게 사업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기존 전기자동차와 달리 일반 도로에 전력선을 매립해 무선으로 교류유도 전기를 공급받아 달리는 방식이다. 카이스트는 이를 통해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고효율 집전장치 등의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주행 중 전기를 충전받아 사용함으로써 저용량 배터리로도 원거리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모바일하버는 해상에 부유물체를 띄워 바다에서 물류를 옮겨 항구로 실어나가는 개념이다.

서 총장이 제안한 이 프로젝트는 지난해 500억원, 올해 250억원의 정부 예산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사업성에 대한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땅에 전선을 매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고,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이미 시도했지만 모두 포기한 사업이라는 주장이다. 모바일하버는 파도가 치는 해상에서 물류를 옮기는 데 따른 위험 때문에 해상보험료가 크게 오르고 실제 수요도 많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회 등에서도 타당성과 실효성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이 지난 5월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평가자 모두 사업의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교과부는 서 총장이 판단을 잘못해 혈세 수백억원이 사라질 지경인데도 사업추진 고집을 꺾지 않는 것을 문제 삼는다는 분위기다. 지난해 규정을 무시한 채 재정을 펀드에 투자해 190억원가량의 손해를 본 것도 따지겠다는 방침이다. 교과부 일부에서는 두 프로젝트를 추진한 서 총장을 두고 ‘사기’ ‘제2의 황우석’이라는 격한 반응도 나온다. 모바일하버 사업의 경우 2008년 9월 서 총장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이를 설명하면서 실제 모델과 전혀 다른 방송사 자료화면을 사용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교과부 고위 관계자는 “각계의 의견을 들어본 결과 두 사업이 효율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예산을 낭비한 것에 대해 서 총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