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北 공격·직접 비난 문구 사용 안돼”… 노골적 북한 편들기?
입력 2010-07-02 18:33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천안함 관련 문안 조율 과정에서 북한의 공격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거나 북한을 직접 비난하는 문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강력히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2일 알려졌다.
천안함 사태가 유엔 안보리에 회부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중국의 노골적인 북한 감싸기로 안보리 논의는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중국은 특히 문구 내용에 북한이 천안함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구체적으로 표기하거나 북한의 ‘공격(attack)’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대신 중립적이고 객관적 용어인 ‘사건(incident)’으로 기술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민·군 합동조사단이 제시한 물증으로는 북한의 어뢰 공격을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을 명시적으로 거론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1일 정례 브리핑에서 “자신들의 도발적 행동이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북한에 분명히 하는 의미 있는(significant) 성명이 안보리에서 나오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천안함 사건에 대해 입장 표명을 유보해 왔던 러시아도 곧 결론을 낼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외무부는 1일 “천안함 보고서 작성을 마무리 중”이라면서 “보고서가 국가 지도부에 제출되고 나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보리 의장은 지난달 30일 전체 이사국들을 상대로 천안함 사태에 대해 요약보고(summary briefing)를 했으며, 5개 상임이사국과 한국 일본 등 주요 관련국 사이에는 활발한 논의가 오가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북한 입장을 사실상 대변하고 있어 안보리가 조만간 결론을 내릴 가능성은 불투명한 실정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천안함 논의가) 오래 지연되는 것을 바라는 나라는 없다”며 “경우에 따라서 급진전될 수 있지만 아직 단정하긴 이르다”고 말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이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