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인 관광객 1000만명 유치하려면
입력 2010-07-02 17:51
일본 정부가 이달 1일부터 중국인에 대한 관광비자 발급 요건을 대폭 완화했다. 연간 수입 25만 위안 이상의 부유층으로 제한되던 종전 발급 기준을 6만 위안으로 낮춰 중간층까지 대상을 확대한 것이다. 중국인 해외여행 급증세에 편승해 일본의 내수 경기 활성화를 도모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중국은 1997년 해외단체여행을 허용한 이래 10년 만인 2007년 해외여행객이 4000만명을 넘었으며 2015년에는 1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니치신문이 어제 보도한 바에 따르면 기준 완화로 중국인 관광비자 발급 대상자는 종전 160만 가구에서 1600만 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은 각각 134만명, 101만명이었다. 중국인 해외관광객 전체 규모에서 보면 각각 2%대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이미 중국은 세계 여행업계의 큰손으로 부상했지만 정작 인접 국가는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한·일 양국이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우리 정부도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비자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이달 중순부터 시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1년의 유효기간 동안 자유롭게 입국할 수 있는 복수비자 발급 대상 확대와 한국을 통과하는 중국인 여행객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 두 번 사용할 수 있는 더블비자를 신설하는 내용이 골자다.
중국인 관광객 유치와 불법체류 방지는 상반된 목표이기에 당장 무비자입국을 허용할 수는 없다. 하지만 비자 발급 기준을 완화하고 절차를 단순화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제 돈 내고 여행을 가려는데 절차가 복잡하다면 누가 찾아올 것인가.
다만 비자 발급과 관련한 제도개선만으로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제도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관광상품의 내용이다. 잠자리 볼거리 먹을거리 쇼핑거리 등과 관련한 여행현장에서 외래관광객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중국인 관광객 유치는 되레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만 키울 뿐이다. 2015년엔 1억 중국인 해외관광객의 10%가 한국을 찾을 수 있도록 내실을 다져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