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에 승부수 띄운 정세균… 민주당 비주류측 쇄신요구 일축
입력 2010-07-01 21:31
민주당 정세균 대표가 정공법을 택했다. 비주류 측의 당 쇄신 요구를 지금은 7·28 재·보궐 선거에 집중할 때라며 일축했다.
정 대표는 1일 기자들과 만나 재·보선 준비 기구와 전당대회 준비 기구를 ‘투트랙’으로 운용하자는 비주류 측 요구에 대해 “재·보선이 먼저고 그 다음에 전대 준비를 하는 게 옳다”고 말했다.
전날 의총에서 비주류 측 의원들은 ‘독재자’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정 대표의 당 운영 방식을 성토했으며, 혁신 방안 마련 등을 위한 전대 준비 기구 즉각 구성 등 요구 사항을 쏟아냈다.
하지만 정 대표는 “(혁신기구 설치는) 말이 안 된다. 솔직히 나는 두 개 다 할 능력이 없다”며 선택과 집중을 강조했다. 재·보선 후 전대 준비 기구를 꾸려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해도 늦지 않다는 얘기다. 그는 또 “(비주류 측이) 공격하고 싶다면 팩트와 정책으로 해야 한다”며 당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에도 불쾌감을 드러냈다.
정 대표가 주저 없이 비주류 측 요구를 반박하고 나서자 당 안팎에선 그가 재·보선에서 승부수를 띄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내 쇄신 논란이 당권투쟁으로 비칠 수 있다는 표면적인 우려도 있지만 지방선거에 이어 재·보선까지 압승하면 주도권을 쥘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또 재·보선에서 승리할 경우 집단지도체제나 전 당원 투표제 등 논란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다는 계산이 포함됐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 대표는 재·보선에서도 야권연대로 승부수를 띄우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이재오 전 국민권익위원장이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는 서울 은평을 재·보선과 관련, “이 전 위원장은 대표적인 4대강 전도사였기 때문에 우리는 4대강 수호 프레임을 대표할 만한 분을 후보로 내세우면 승산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 대표의 반박에도 불구하고 전대 준비 기구 조기 구성을 지지하는 당내 여론이 만만치 않은 데다 비주류 측도 ‘비상한 행동’에 들어가겠다며 압박하고 있어 쇄신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4일 비주류 연합체인 ‘쇄신연대’도 공식 출범한다.
한장희 강주화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