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全大 정치실험’ 성공할까
입력 2010-07-01 18:40
한나라당이 7·14 전당대회를 깨끗하게 치러 ‘차떼기’ 꼬리표를 떼어내고 ‘클린 정당’으로 거듭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바람대로 된다면 정당 혁명으로 기록될 만하지만 이미 선거전이 많이 혼탁해진 상황이어서 실험이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1일 회의를 열고 당헌당규를 엄격히 적용해 앞으로 금품, 향응, 교통편 제공 등 전대 후보자들의 어떠한 형태의 기부행위에 대해서도 엄중 처벌키로 결정했다. 특히 세 번을 초과해 위반 사항이 걸리면 해당 후보를 당 윤리위에 제소키로 했다. 회의는 전대를 앞두고 몇몇 후보 진영에서 대의원들에게 향응을 제공하거나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들에게 줄 세우기를 한다는 정보가 계속 입수되자 소집됐다.
회의에서는 또 세 과시 행사나 지지자 명단 공개, 대의원에게 지지를 강요하는 행위 역시 똑같이 위법 사항으로 간주하겠다고 결정했다. 이들 행위는 현재 수위권 전대 출마자 대부분이 하고 있는 행위이고, 야당들도 관례적으로 해오던 것들이다. 비대위에서는 “여야를 통틀어 역대 가장 깨끗한 전대를 치러보자. 그게 진정한 쇄신이다”는 발언이 잇따라 나왔다고 한다.
비대위원장인 김무성 원내대표는 “적발돼도 실제로 얼마나 불이익이 가겠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내가 직접 철저히 관리해 엄하게 처벌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당헌당규를 위반한 후보자가 윤리위에 제소되면 (당선이) 상당히 어렵지 않겠느냐”면서 위반자를 레이스에서 끌어내릴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당내에서도 이런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홍사덕 김형오 정의화 의원 등 중진 및 중립파 의원 19명은 성명을 발표하고 “국회의원 줄세우기와 당협위원장들의 지시가 배제된 자유투표가 보장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위반자의 경우 전대 이후라도 엄중 처벌해야 한다”면서 당선 무효까지도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당 주변에서는 이런 방침을 환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 한 후보 측은 “이미 줄세우기가 다 끝난 상황 아니냐”고 지적했다. 다른 후보 측도 “향후 위반에 대해서만 처벌하면 오늘 이전에 술 사고, 고기 산 것은 다 눈감아주겠다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무엇보다 수위권 후보 측에서 비대위 결정을 크게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한편 비대위에서는 전대에 출마할 후보가 13명에 달해 후보를 추리는 ‘컷 오프’를 하자는 당 일각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신인들에게도 기회를 준다는 차원에서다. 대신 TV 토론은 상호토론 없이 정견발표 위주의 토론만 벌이기로 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