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천안함 ‘낮은 수위’ 조치 요구… 안보리 입장 표명엔 동의
입력 2010-07-01 22:26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천안함 관련 조치에는 동의하나 낮은 수위의 내용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을 방문 중인 정부 고위당국자는 30일(현지시간) “안보리가 현재 문안에 대해 협의 중이고, 큰 쟁점들이 몇 개 남아있다”고 밝혔다. 안보리는 우리 정부가 제출한 초안을 비롯해 복수의 문건을 회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중국 입장에 “안보리가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입장을 내놓는 것에 대해선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전했다. 이어 “G8의 대북 비난 공동성명 내용이 비교적 괜찮고, 하나의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안보리 문구는 G8 성명보다 좀 더 미묘하게 될 수 있으며, 최종 결과물을 섬세하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G8 공동성명 작성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던 중국이 안보리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수위가 좀 더 낮아질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미국이 2005년 방코델타아시아(BDA)의 북한 자금 2400만 달러 동결조치 같은 대북 금융제재를 검토하고 있다는 일부 시각에 대해 “조금 거리가 있다. 북한의 금융거래를 제한하는 일반적인 기준을 만드는 쪽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안보리 논의 진행과 관련, 북한의 신선호 유엔주재대사는 안보리에 보낸 서한(29일자)에서 남북한이 공동으로 천안함 사건 조사를 다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정례브리핑을 통해 “철저한 조사가 있었으며, 수집된 증거는 명확히 북한 어뢰를 지목하고 있다”고 추가 조사 필요성을 일축했다.
안보리 의장인 클라우드 헬러 멕시코 유엔대표부 대사는 안보리 이사국 대표들과 비공식 협의를 갖고, 북한을 규탄하는 결의안이나 성명을 채택하도록 요청했다. 헬러 의장은 협의에서 “안보리가 북한에 책임을 물을 수 있다”며 “안보리가 남은 문제를 빨리 해결하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 행정부 당국자들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연기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논의 재개 사이에 ‘정치적 거래’가 있을 거라는 한국 내 일부 시각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국자는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먼저 이 문제를 거론하며 “한국에서 전작권 전환 연기와 FTA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있다고 보는 건 이해할 수 없다.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논의 방향을 예측할 수도 없고, 헤아릴 수도 없다”는 반응이었다고 전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