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실무기구 해체 수순 밟는다
입력 2010-07-01 18:30
세종시 수정안 추진을 위해 조직됐던 기구들이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 세종시 수정안의 국회 부결로 존재 이유를 상실했기 때문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1일 “세종시 민관합동위 회의를 오는 5일 개최할 예정”이라며 “이는 사실상 해체 수순”이라고 말했다.
퇴장을 준비하는 조직은 심의기구 역할을 했던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와 실무기구인 세종시 기획단이다.
민관합동위원회는 지난해 11월 16일 정운찬 국무총리와 송석구 가천의대 총장을 공동 위원장으로 선임하고 공식 출범했다.
정 총리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등 정부위원 7명과 민간위원 16명으로 구성됐다. 민관합동위는 그동안 10여 차례 회의를 통해 세종시 자족시설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 등을 논의하고 여론을 수렴했다.
민관합동위는 관련 규정에 따르면 오는 10월까지 운영될 예정이었지만 수정안 부결로 조기에 문을 닫게 됐다.
세종시 수정안 마련의 실무작업을 주도하기 위해 총리실 내에 설치했던 세종시 기획단도 마찬가지 운명이다. 회계와 자료 정리 등 청산절차만 남았다. 정부는 최소한의 인력만 남겨놓고 기구를 대폭 축소, 운영하다 해체한다는 계획이다.
하윤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