得도 많고 失도 많아…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딜레마
입력 2010-07-01 18:09
광주의 얼굴인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태어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광주시는 신임 강운태 광주시장의 공약에 따라 무등산 정상의 군부대와 통신시설을 모두 철수시켜 생태환경 복원공사를 마무리하고 자연사박물관을 건립키로 하는 등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무등산을 2012년까지 국립공원으로 승격시키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시는 국립공원 승격과 함께 입석대와 서석대 등 무등산 정상 주상절리대의 세계 문화유산 등록도 이끌어내기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9월까지 찬반여론 수렴을 위한 시민공청회를 실시한 뒤 연말까지 환경부와 산림청, 전남도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2011년 말까지 국립공원 지정 건의에 필요한 타당성 및 자원조사-의견청취-협의-심의 및 고시 등 구체적 행정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시는 무등산이 국립공원이 되면 공원관리 비용 전액을 국비로 충당할 수 있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자연환경의 영구적 보존도 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 외지관광객의 활발한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광주의 브랜드 가치를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무등산의 경우 전체 면적이 30.2㎢(광주시 27㎢, 담양 0.8㎢, 화순 2.4㎢ 등)로 가장 작은 국립공원인 월출산의 절반에 불과해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기에는 덩치가 작고 멸종위기 동식물의 종류 등 보존가치가 상대적으로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국립공원 승격이 이뤄질 경우 각종 규제가 강화되는데다 입장요금까지 부과돼 주말마다 자유롭게 이 산을 오르는 시민들의 불편이 뒤따를 수 있다는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아 광주시는 고심하고 있다.
화순과 담양 등 전남도내 2개 지자체와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미온적 태도도 걸림돌이다. 2002년부터 750억 원의 예산을 들인 자연환경 복원사업이 최근 마무리된 무등산에는 요즘 매일 1만∼2만 명의 탐방객이 다녀가지만 불법 주·정차와 쓰레기 불법투기, 등산로 흡연, 애완견 동반산행 등 환경훼손 행위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