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 만에 ‘한가족’ 닻올린 통합창원시… 개청식 갖고 공식 업무 시작

입력 2010-07-01 21:05

경남 창원·마산·진해 3개 시가 600여년 만에 다시 한가족이 돼 통합창원시로 공식 출범했다. 통합창원시는 1일 창원시 중앙로 성산아트홀 대극장에서 정운찬 국무총리, 박완수 초대 시장 등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가졌다.



박 시장은 출범사를 통해 “600년전 형제였던 3개 시가 하나된 새로운 창원시대의 출발선에 서 있다”며 “소통의 시정으로 지역과 계층, 세대를 뛰어넘는 신뢰와 화합의 문화를 확산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출범식에서는 자전거도시 창원을 상징하는 자전거 퍼포먼스 영상을 비롯해 마산로봇랜드 이미지를 담은 비보이 로봇 영상, 진해의 벚꽃 이미지를 상징하는 영상이 어우러진 축하공연도 펼쳐졌다.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 등 통합창원시 산하 5개 행정구청은 일제히 개청식을 갖고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통합창원시는 출범했지만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무엇보다 창원·마산·진해 3개 시 주민들의 화합과 균형발전을 위한 장기 발전전략 수립 등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 마산과 진해지역 주민들은 통합창원시 출범과 함께 지역내 핵심역량의 창원 쏠림 현상이 심화돼 자칫 소외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박 시장은 3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발전전략 수립에 고심하고 있다. 박 시장이 지역대표와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균형발전협의체’를 꾸려 통합시 발전을 위한 다양한 목소리를 들으려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통합창원시에 대한 행정·재정적 특례를 담은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안’이 6월 임시국회에서 통과하지 못한 것도 걸림돌이다. 이로인해 당분간 행정공백이 불가피해 졌다. 지역개발 채권 발행, 재정보전금 문제도 시급한 현안이고 일자리 확대와 인구증대를 통한 도시 자족기반 확충, 명품 교육환경 조성, 쾌적한 주거환경 구축, 부동산 가치하락 방지 등도 풀어야 할 과제다.

통합시 주민화합 방안에 대한 연구를 맡았던 경남대 행정경찰학과 정원식 교수는 세계적 국제행사 유치를 비롯해 통합시 균형발전위원회 구성, 통합시민의 날 제정, 도·농 격차 해소, 시민화합기구 구성, 갈등관리 조례 제정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