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IMF, 금융위기 아시아 국가 지원 긴급 여신프로그램 만든다

입력 2010-06-30 18:26

한국과 국제통화기금(IMF)이 금융위기에 처하게 되는 아시아지역 국가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긴급 여신프로그램을 만든다.

‘체계적 유동성지원제도(SLF·Systemic Liquidity Facility)’로 명명된 이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은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확정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 보도했다.

SLF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금융위기에 직면했던 국가들에게 제공했던 스와프라인(상호 외환조치)의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WSJ는 전망했다.

WSJ는 G20 정상회의를 준비하는 한국 입장에선 SLF가 만들어질 경우 국제사회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책입안자로서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IMF는 과거 아시아 금융위기 때 고압적 자세로 인해 이 지역 국가들과 불편했던 관계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IMF 총재는 “어려움에 직면한 국가들에게 적극적으로 유동성을 지원하는 공조 메커니즘이 될 것”이라며 “IMF의 정책평가를 받는 국가들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IMF에 대한 지원 요청이 경제적 취약성을 알리는 신호로 간주되고 있는 만큼 특정 국가가 아닌 국가군에 지원하는 방식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신현송 청와대 국제경제보좌관은 “해당 프로그램은 IMF와 차입국 간에 보다 체계적인 관계 설정을 수반하게 될 것”이라며 “Fed가 신뢰할 수 있는 국가들에 달러를 지원하는 스와프라인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WSJ는 전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