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erful Giving 자원하여 드림 (고린도후서 9장 7절)

입력 2010-06-30 17:23

영어말씀과 영작을 통해 새롭고 깊은 묵상을 가져보세요.

I want each of you to take plenty of time to think it over, and make up your own mind what you will give. That will protect you against sob stories and arm-twisting. God loves it when the giver delights in the giving. (The Message)


want 목적어 목적보어(to 부정사): 목적어가 ~하기를 원하다

plenty of 많은 think over 생각하다, 상고하다

make up one's mind 결심하다

protect A against B: B로부터 A를 보호하다 sob story 눈물나는 이야기

arm-twisting 강압

delight in ~을 기뻐하다

You should each give, then, as you have decided, not with regret or out of a sense of duty; for God loves the one who gives gladly. (Good news Bible)

as you have decided 당신이 결심한 대로

regret 후회 a sense of duty 의무감

gladly 기쁘게

작문해 봅시다.

God loves the one who gives gladly.

God loves the one who __________________.

‘하나님은 ~하는 자를 사랑하신다’는 구문입니다. 괄호 안에 하나님이 어떤 이를 사랑하시는지 영작하여 넣어봅시다.

God loves the one who ( ).

헌금에 대해서는 여러 말들이 많습니다. 어느 정도 드려야 하느냐, 어디에 얼마큼 드리는 것이 옳으냐, 액수가 많느니 적느니.. ‘재물이 있는 곳에는 네 마음도 있다’는 성경말씀과 같이, 돈이란 것은 나의 모든 노력, 시간, 재능을 투자한 나 자신의 삶의 열매와도 같은 것이기에 그만큼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 됩니다.

오늘 이 말씀에서는 액수나 드리는 곳이나 양보다는 그 태도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Each of you(각각)이 pleanty of time(많은 시간)을 think over(생각, 숙고)하는 데에 보내어 드릴 것을(what you will give) 결정(make up your own mind)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regret(후회)나 a sense of duty(의무감)으로 드리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해 준다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주어에는 두 버전 다 each라는 단어를 쓰고 있습니다. Each는 여러 사람들을 한 무리로 잡아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여럿이라 하더라도 그 각각 한 사람씩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Each가 주어가 될 때에는 동사에 3인칭 단수를 사용하는 것도 ‘각 사람’의 의미를 반영한다고 볼 수가 있고요. (요건 영어시험에도 그래서 잘 나오고 곧잘 틀리는 부분이기도 하지요)

Each를 사용한 것은, 무리로써 헌금에 대하여 일률적인 액수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자 스스로 결정하라는 것을 더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각자가 시간을 들여 숙고하여 make up your own mind what you will give(얼마를 드릴지 내 마음에 결정해야) 합니다.

특히 주의해야 할 부분이 God loves it when the giver delights in the giving, God loves the one who gives gladly입니다. 하나님은 드리는 자가 기쁘게 드릴 때 이를 사랑하신다, 기쁘게 드리는 자를 사랑하신다는 말씀입니다. 얼마나 드렸느냐, 몇 퍼센트냐, 이런 액수보다는 그 태도를 보시는 것입니다. 내가 하나님께 얼마나 감사하고 기쁜 마음으로 드리는지를 돌아보게 됩니다.

제가 처음으로 돈을 벌게 된 것은 대학교 1학년 때 첫 과외지도를 했을 때였습니다. 전철타고 한시간 가서 버스로 다시 20여분 더 들어가는 그리 편하지 않은 교통에, 평균보다 조금 덜한 보수를 받았지만, 처음 그 봉투를 받던 순간이 얼마나 감격스러웠는지 모릅니다. 난생 처음 돈을 벌게 된 것이니까요. 그리고는 하나님께 크게 감사한 마음으로 받자마자 헌금을 떼어 놓았습니다. 후에 대학원 석사 졸업 후에 영어전문학원에서 전임강사로 일하면서 역시 처음으로 직장인들이 받는 큰 돈을 한번에 받게 되었을 때에도 몇 개월간은 크게 감사하는 마음, 그리고 기뻐하는 마음으로 주님께 드렸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한 해 두 해가 지나가면서는, 습관적으로 받아서, 의무감으로 드리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감사의 마음보다는 월세 내듯이 습관적인 행위가 되어 버리고 내 마음에 기쁨은 없었습니다. 어떤 때는 즉흥적인 마음에 어느 정도를 드려야지 하고 헌금을 드렸다가, 나중에 돈이 모자라는 것 같으면 헌금을 괜히 후회하는 마음까지 들었으니 스스로 생각해도 헌금생활이 왜 이렇게 되었나는 반성이 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십원도 벌 수 없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건강과 환경과 재능을 다 허락하셨기에 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몇천원을 벌더라도 하나님께 먼저 감사드리고 기쁜 마음으로 드릴 때에 하나님께서도 기뻐하시고 나에게도 기쁨이 넘칠 것입니다.

이 구절에서는 후회나 의무감으로 드리지 않는 방법을 각 사람이 미리 시간을 들여 얼마나 드릴지를 숙고하여 결정하라 하시고, 또 기쁜 마음으로 드릴 것을 강조합니다. 하나님께 드리면서 나도 기쁘고 하나님께도 기쁨이 되는 즐거운 드림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나의 헌금생활을 돌아보면서 적용해 보도록 합시다.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으로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고후 9:7)

Meditation <묵상을 영어로 써 봅시다. 간단한 문장이라도 꼭 만들어보세요.>

How shall we decide how much we will give to God? (하나님께 얼마나 드릴지를 어떻게 결정해야 하나요?)

(예) to have time to think over (심사숙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

* What kind of attitude does the Lord want me to have in offering? (주님은 내가 드릴 때에 어떤 태도를 갖기 원하시나요?)

예) to decide carefully and to give gladly. (신중히 결정하며 기쁘게 드리는 태도를)

* Do I give gladly when giving the offering? (나는 기쁨으로 드리고 있나요?)

예) Not really. Sometimes I do so, but sometimes I do not.

(어떤 때는 그러하나, 어떤 때는 그렇지 못하다)

* Write down my meditation. (나의 묵상을 써 봅시다)

God loves the one who. (하나님은 ~하는 자를 사랑하신다)

My Application

Prayer

Lord Jesus, You were rich, yet for our sake You became poor, so that through Your poverty we might become rich. All I get is from You who allow. Let me give you back with joy! In Jesus' name, Amen.

(주님, 주님께서는 부요하셨으나 저희를 위하여 가난케 되어 주님의 가난하심으로 우리를 부요케 하셨습니다. 제가 가진 모든 것은 주님이 허락하셔서 주신 것입니다. 저로 하여금 기쁨으로 돌려드리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 My Prayer

박은영 (감신대 영어교수, ‘매일영어큐티’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