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출구전략 시행 권고

입력 2010-06-29 18:28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28일(현지시간) “한국의 빠른 성장은 부양 조치를 거둬들여 점차 평상 수준으로 복귀해야 할 때가 됐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한국 경제의 출구전략 필요성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칸 총재는 7월 12∼13일 대전에서 IMF가 주최하는 ‘아시아 21-미래경제의 선도적 주체’ 콘퍼런스 참석을 앞두고 워싱턴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 경제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글로벌 경제 침체에서 벗어나 인상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또 현재 한국 경제에 대해 “과열 상태는 아니지만 경기 회복과 함께 재고를 확충한 이후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1990년대 말 한국 등 아시아 외환위기 발생 당시 IMF의 대처 방식에 대해 그는 “IMF 역할은 한국과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서의 위기 확산을 막고 금융 부실을 정리하는 것이었다”면서 “당시 혹독한 처방으로 (해당 국가들이) 매우 큰 대가를 치렀으며 돌이켜보면 다른 방법으로 위기에 대처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며, 이로 인해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안화가 완전히 시장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전제로 IMF의 특별인출권(SDR) 바스켓에 위안화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IMF가 국제 유동성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창출한 SDR은 금, 달러화와 함께 제3의 통화로 간주되고 있다. 중국 위안화가 SDR 바스켓에 포함되면 국제결제 통화로 위상이 높아질 수 있다.

칸 총재는 그러나 “위안화 절상이 빠르게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위안화가 실질적으로 시장가치를 지니지 못한다면 SDR 바스켓에 포함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위안화 절상을 포함해 중국 환율 시스템 자유화를 촉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