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장려’ 쏟아지는 대책만큼 낳았으면…
입력 2010-06-29 18:49
전북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저출산을 막고 아이 많이 낳기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펴고 있다.
전주시는 7월 1일부터 부모가 6세 미만의 어린이와 함께 시내버스에 탈 경우 3명까지 요금을 면제시키기로 결정했다고 29일 밝혔다. 그동안은 1명만 면제하고 2명 째부터는 500원씩 내야 했다.
시 관계자는 “다자녀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한편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로 전국에서 처음 실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주시는 보육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등 출산장려 종합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시는 신혼부부 임신·출산지원, 국·공립 보육시설 마련, 셋째 아이 유치원·학원비 지원, 둘째 아이 무상보육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익산시는 아이 낳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임신∼출산 280일간 임산부들의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1년 이상 익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임신 여성에게 초음파, 산모기본검사, 선천성 기형검사, 임신성 당뇨 등 기본검사 비용 가운데 자부담 비용 26만원 정도를 전액 지원하고 있다.
또 김제시는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으로 최고 15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 제도는 다른 자치단체가 여성 장애인이 출산을 할 경우에만 지원금을 지원하는 것과는 달리 신생아의 아버지가 장애인(1∼4급)인 경우에도 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시는 교통사고로 다리를 다쳐 지체 2급 장애인이 된 김모(27)씨 부부가 최근 아이를 낳자 100만원을 지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