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에 길이 있다] 안정적인 펀드 운용·관리가 우선… 매니저 잦은 교체 없어져야
입력 2010-06-28 18:30
(중) 달라져야 할 시장 환경
“펀드 수익률이 좋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게 내 이야기가 될지 믿을 수는 없다.” 한 달 전 A은행에서 주식형 펀드 가입을 상담한 회사원 정모(33)씨는 펀드 판매사나 운용사에 대한 불신이 가득했다. 고객 돈 불리기보다 자기 잇속 챙기기에 급급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정씨 주변 사람들은 “그냥 맘 편히 은행 예·적금이나 들라”고 말한다.
현재 펀드 시장은 ‘신뢰의 위기’를 겪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로 원금이 반토막 나면서 펀드 판매사 등이 안정적인 펀드 운용·관리에 실패했고 투자자 보호에도 소홀했던 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 느낌”이라며 펀드 투자에 환멸을 느낀다는 투자자가 부지기수다.
펀드 시장의 신뢰 회복은 ‘펀드 판매와 운용 개선’에서 시작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먼저 펀드매니저가 적정 숫자의 펀드를 운용하며 투자의 일관성을 지키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지난 24일 현재 금융투자협회에 등록된 펀드매니저 수는 1128명. 1인당 평균 7.2개의 펀드를 맡고 있다. 선진국의 2배 수준이다. 펀드매니저 교체도 잦다. 올 들어 펀드매니저 교체 공시 건수는 월평균 412건에 이른다.
은행 등 펀드 판매사들의 사후관리도 대폭 강화될 필요가 있다. 연간 펀드비용의 46%(주식형)가 판매보수인데도 투자자 관리가 미흡하다는 불만이 많다. 은행 관계자는 28일 “펀드이동제 실시로 고객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며 “불완전판매 원천 봉쇄, 일대일 펀드전문가 상담, 펀드리서치 강화, 목표 수익률 달성 시 문자메시지 발송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신경쓰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로 대부분 사라진 펀드 세제 혜택을 되살려야 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해외펀드의 비과세 혜택이나 장기주식형펀드의 비과세·소득공제 등은 지난해 말로 대부분 종료됐다.
금투협 관계자는 “연금저축펀드에 연간 300만원까지 소득공제해 주는 것 말고는 보통의 펀드 투자자가 누릴 수 있는 세제 혜택은 거의 없다”며 “장기투자 펀드에 대한 세제 혜택을 부활시키는 등 펀드시장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