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2연평해전 ‘여섯 용사’를 기억하며
입력 2010-06-28 17:45
윤영하 소령, 한상국·조천형·황도현·서후원 중사, 박동혁 병장. 2002년 한·일 월드컵축구대회 폐막일을 하루 앞둔 6월 29일 오전 10시25분경 발발한 제2연평해전에서 숨진 ‘여섯 용사들’이다. 이들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남침해 기습 공격을 자행한 북한 경비정에 맞서 우리 영해를 수호하기 위해 싸우다 장렬히 전사했다.
얼마 전까지 이들의 숭고한 희생은 국민적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대북 유화책을 중시한 김대중 정부와 그 뒤를 이은 노무현 정부 때는 기념식조차 정부차원이 아닌 해군 자체 행사로 쉬쉬하는 분위기 속에서 치러졌다.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유족들의 억장이 무너진 것은 말할 나위 없다. 무심한 조국을 원망하며 이민을 결행한 미망인까지 있었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도 지난해까지 기념식은 예전과 똑같이 경기 평택의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열렸다.
8년이 흐른 올해 제2연평해전 기념식이 서울 용산의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서 정부 행사로 거행된다. 정부가 주관하기는 처음이다. 3부요인과 학생, 일반시민 등 2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늘 개최되는 기념식은 TV로도 생중계될 예정이다. 명실상부한 ‘국민의 행사’로 격상해 결코 제2연평해전을 잊지 않겠다는 정부의 뜻이 담겨 있다. 지난 3일에는 전쟁기념관에 참수리 357호정 안보전시관이 문을 열었다. 하나하나 개선돼 가는 것은 다행이지만, 이 대통령이 해외 순방 중이어서 올해 기념식에 불참하는 점은 못내 아쉽다.
정부는 기념식의 격을 높여 장소를 바꾸고, 참석 인원을 늘리는 것에 그쳐선 안 된다. 유족들 가슴 속의 응어리를 풀어주기 위해 정부가 세심하게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
대표적인 것이 국립대전현충원 묘역 4곳에 흩어져 있는 여섯 용사들의 무덤을 한 곳으로 모으고, 주변에 추모비를 세워 안보교육 현장으로 삼자는 유족들의 숙원을 이루는 일이다. 정부는 관련 규정에 얽매이지 말고, 긍정적으로 검토하기 바란다. 한나라당이 지난달 언급한 제2연평해전 전사자에 대한 재보상 방안은 아직 감감무소식이다. 조속히 재보상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