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 16곳 포함 65곳 퇴출·워크아웃
입력 2010-06-25 21:17
정부, 저축銀 부실 PF에 공적자금 2조5000억 투입
건설사 16곳을 포함해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65곳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퇴출 절차를 밟게 된다. 구조조정 대상 건설업체 가운데 벽산건설, 남광토건, 중앙건설, 한일건설, 성지건설 등 5곳은 주식시장에 상장돼 있다.
또한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대출채권에 공적자금 2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2008년에 이어 두 번째다. 당시 정부는 저축은행의 PF 채권 1조7439억원을 사들였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 부실 경영 책임은 물론 금융당국의 감독 소홀 여부를 가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국민·신한·산업·하나은행, 농협 등 6개 채권은행은 2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1985개 대기업들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결과 총 65개 대기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건설사는 16곳이 포함됐다.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을 받는 건설사는 벽산건설, 신동아건설, 남광토건, 중앙건설, 한일건설, 청구, 한라주택, 성우종합건설, 제일건설 등 9곳이다. 퇴출 대상인 D등급은 상장사인 성지건설 등 7개사다. D등급은 채권단 지원이 끊어지기 때문에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다. 기업회생절차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퇴출된다. 조선업체에서는 1곳이 C등급, 2곳이 D등급을 각각 받았다. 해운업체 1곳도 C등급을 받아 워크아웃을 추진해야 한다.
65개 기업의 금융권 빚은 모두 16조7000억원(은행 11조9000억원, 저축은행 1조5000억원, 여신전문회사 7000억원 등)이라고 채권단을 밝혔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이날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고 캠코가 관리하는 구조조정기금으로 저축은행의 부실 PF 대출채권을 이달 말까지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부실 PF 대출 규모는 3조8000억원이다.
금융위는 공적자금인 구조조정기금 2조5000억원 외에 캠코 고유자금 2500억원 등 총 2조800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대출채권 매입가격은 채권 원리금 대비 63% 수준이다.
부실 PF 대출채권을 사주는 대신 저축은행에 철저하게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부실채권 매각에 따른 대손충당금을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쌓도록 하고 유상증자나 자산매각,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자본 적정성을 높이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김찬희 황일송 기자 chkim@kmib.co.kr
◇키워드=프로젝트 파이낸싱(PF)
돈을 빌리는 사업자의 신용도와는 관계없이 그 사업자가 추진하는 프로젝트로부터 나올 현금과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금융기법. 부동산PF는 아파트, 주상복합, 상가 건립에 따라 앞으로 들어올 분양수익금을 바탕으로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