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대 후보난립 예선전 치르나
입력 2010-06-25 21:19
한나라당 7·14 전당대회에 출마할 후보들이 난립하면서 ‘도토리 키 재기’로 당권이 정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후보들을 사전에 추리는 ‘컷 오프(cut off)’ 제도를 도입하자거나, 후보들 간 합종연횡이나 단일화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
당 쇄신운동을 주도해온 ‘초선 쇄신모임’ 측은 25일 쇄신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해 김성식 의원을 출마시키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청와대에 할 말은 하는 초계파적 인사가 있어야 당이 살 수 있다는 생각에 출마 결심을 굳혔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앞서 친이명박계에서 안상수, 홍준표 전 원내대표, 정두언, 정미경 의원, 김대식 전 민주평통 사무처장이, 친박근혜계에서 이혜훈 의원, 중립그룹의 남경필, 조전혁 의원 등 8명이 출마선언을 마친 상태다. 여기에다 친박계 서병수, 이성헌, 주성영, 한선교 의원이 누가 출마할지를 놓고 내부논의 중에 있고, 친이계 이은재 의원도 여성 최고위원 자리를 노리고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어 중도 사퇴가 없는 한 10명 이상의 후보가 경쟁을 벌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후보들이 많으면 계파를 초월해 다양한 목소리가 표출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제대로 된 토론회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우후죽순격 주장으로 당 쇄신이라는 전대의 초점이 희석될 것이란 우려도 있다. 또 전대의 하이라이트인 후보들 간 정견발표도 주목도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고, 특히 미미한 표 차이로 의외의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는 등 투표 왜곡 현상도 생길 수 있다.
이 때문에 당 전대준비위 측은 여론조사 등을 통해 원활한 TV토론이 이뤄질 수 있게 후보를 압축하는 컷 오프 제도 도입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후보가 많으면 여론조사 자체도 왜곡될 수 있어 컷 오프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당 주변에서는 내달 5일 후보등록 때까지 후보들 간 합종연횡을 적극 유도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계파 내부에서 후보를 추려 ‘대표선수’를 내보내게 하거나, 또 현실적으로 득표력에 한계가 있는 중립파와 쇄신파가 손을 잡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몇몇 후보의 경우 실제 출마하기보다 특정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한 “단일화용 후보가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일각에서는 후보로 나서기 위해선 7000만원의 기탁금을 내야 하는 부담이 있어 막상 후보등록일이 가까워지면 출마를 접는 사람도 생길 것이란 관측도 있다.
손병호 김나래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