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좌초위기… 삼성물산, 부지대금 연기 등 요구에 코레일 ‘펄쩍’

입력 2010-06-24 21:54

총 사업비 30조원 규모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좌초 위기에 놓였다.



건설경기 침체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자 시공 주간사인 삼성물산이 부지대금 지급 연기와 용적률 상향조정을 요청했지만 코레일과 서울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삼성 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내걸고 사업포기 수순을 밟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 22일 열린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이사회에서 코레일에 납부할 토지대금 중 중도금 4조7000억원 전액을 준공 때까지 무이자로 연기해주고, 2조원 안팎의 분납이자를 면제해달라고 요청했다고 24일 밝혔다.

서울시에 대해서는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608%인 사업 용적률을 800%로 상향조정하거나 기부채납 비율을 낮춰줄 것을 제시했다. 또 모든 출자사에 대해 각 사별 지분율에 따라 총 2조원을 증자하고 일시적 자금 부족분에 대해서도 출자사가 단기대여 방식으로 1조3000억원을 조달할 것 등을 요구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위기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이 불가능해지면서 돈줄이 꽉 막힌 상태”라며 “이런 방법 외에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게 삼성물산을 비롯한 건설 시공 투자회사들의 공통된 견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 측은 “중도금과 이자를 준공 때까지 연기해달라는 것은 비현실적인 제안으로 재고의 가치도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도 용적률을 200% 가까이 올려주는 것은 특혜 논란으로 확대될 수 있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드림허브는 토지대금으로 빌린 8500억원에 대한 ABS 이자로 분기별로 128억원을 납부해야 하는데 추가로 PF를 받지 못하면 9월부터는 이자를 내지 못해 부도 위기에 처하게 된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