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α’ 다시 불붙는 세종시] 충청권 당선자 입장은…

입력 2010-06-21 18:30

충청 지역 광역단체장들은 21일 세종시 수정안의 국회 본회의 표결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세종시 원안 추진 원칙을 재차 확인하며 세종시 원안에 이미 기업 유치 부분이 포함돼 있으며 이는 그대로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염홍철 대전시장 당선자는 “세종시 원안 추진은 6·2 지방선거를 통해 국민의 준엄한 명령임이 확인됐다”며 “국회법에 따라 해당 상임위의 토론을 거쳐 부결되면 그것으로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도 “세종시 수정안은 국회 국토해양위에서 폐기처분하고 끝내야 한다”며 “정부기관 이전 변경고시를 즉각 이행하고, 행정도시 원안 추진을 위한 후속 대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시종 충북지사 당선자는 “상임위에서 부결된 수정안을 본회의에 다시 상정하겠다는 저의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본회의 표결 찬반 결과를 공개하겠다는 것인데, 이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의원들을 압박하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세종시 원안 추진으로 기업 유치를 포기하면 실리를 잃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안 충남지사 당선자는 “세종시에 9부2처2청이 빨리 오는 게 가장 큰 실리”라며 “세종시의 목표는 21세기 세계의 도시 모델을 창출하는 것으로, 이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정부기관과 함께 원안에 약속한 대로 기업들이 들어와야 한다”고 밝혔다.

염 대전시장 당선자는 “세종시 원안에도 기업 유치를 위한 공장용지가 있는데 원안대로 기업 유치가 진행돼야 한다”면서 “정부가 수정안 관철을 위해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기로 한 약속도 원안에 포함된 기업 유치의 일환인 만큼 지켜져야 하며, 기업 역시 입주 약속을 지키는 게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 충북지사 당선자도 “세종시 원안 추진 단계에서 이미 삼성 한화 등 대기업의 세종시 입주 계획이 있었음이 행복도시건설청이 작성한 자료에서 확인됐다”며 “이는 세종시가 원안대로 추진됐을 때 기업들이 입주할 충분한 메리트가 있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이 당선자는 이어 “애초 세종시는 복합 기능으로 기업 등의 정주 여건이 고려되도록 계획돼 있다”며 “행정 기능을 기반으로 각종 연구 활동과 기업 활동이 조화롭게 진행됨으로써 자족 기능을 갖춘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본 계획을 세운 것이 세종시 원안”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시 원안에는 행정부처 이전과 함께 대기업 연구단지 및 생산시설 유치를 통한 명품 자족도시, 첨단 과학기술 연구 단지, 교육과학기술 특성화 단지를 포함하고 있다.

대전·청주=정재학 이종구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