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실상 위안화 절상] 유럽 발 금융위기 여파로 소폭·점진적 절상 가능성
입력 2010-06-20 18:35
국제금융시장은 주말이 지나 당장 21일 개장하는 외환시장에서 인민은행이 공시할 위안화 일일 기준 환율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인민은행의 조치가 단순 선언에 그치지 않고 위안화 절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선 “중국, 너는 미국에 굴복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얼마나 절상될까=고무적인 조치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주식시장에선 캐나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의 미·중 갈등이 사전에 해소돼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19일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위안화가 급격한 절상이 아니라 소폭의, 점진적인 절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연내 2∼3% 절상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당초 중국의 빠른 경기회복세를 감안해 5% 절상 관측도 있었으나 유럽 발 금융위기 여파 등으로 절상폭이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의 대중 압박+중국의 현실적 선택=중국은 2005년 7월부터 달러·유로·엔화 등의 복수통화바스켓에 기초해 관리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2008년 7월부터는 달러당 6.82위안으로 고정시켜 왔다. 사실상 고정환율제를 시행해 온 것.
문제는 이것이 미·중 환율갈등으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미국은 대규모 무역적자를 중국 탓으로 돌리고 있다. 중국이 의도적으로 위안화 가치를 절하시켜 수출을 늘리고 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중국의 환율시스템을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한 주범으로 몰아붙였다. 미국의 무역적자로 빠져나간 달러는 흑자국들이 미 국채를 매입하면서 다시 뉴욕으로 환류하고 이것이 자산버블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는 지속적으로 위안화 절상을 촉구해 왔다.
변화의 조짐은 있었다. 미국이 지난 4월 중국을 예전처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으면서 물밑접촉설이 제기돼 왔다.
위안화 저평가는 중국에도 부담을 지우기 시작했다. 경기 과열과 인플레 및 부동산 자산거품 등 부작용을 낳아왔던 것이다. 이 탓에 이런 상황은 어느 정도 예견되어 왔다. 지난 3월 저우샤오촨(周小川)인민은행장이 환율절상을 예고하는 발언을 해 무게를 실어줬었다.
◇중국 네티즌들, “미국이 그렇게 두렵나”=이 같은 물밑 행보에도 불구하고 인민은행의 이날 발표시점 자체는 전격적이었다. 추이텐카이(崔天凱)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불과 사흘 전인 16일까지만 해도 기자회견에서 “위안화 환율문제는 G20 정상회의에서 논의될 게 아니다”라며 미국의 압박을 반박했었다.
중국 관영 언론은 이번 인민은행의 조치와 관련, 발표 사실만 소개할 뿐 주관적인 논평이나 코멘트는 자제하고 있다. 관련 뉴스에 대한 독자들의 리플도 봉쇄했다. 이 같은 조치는 민감한 사안에 대해 취해지는 것으로 이슈화를 막기 위한 중국 당국의 의도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하지만 일부 네티즌 접근이 가능한 언론에서는 비판 글이 쇄도하고 있다. 현지 언론인 글로벌타임스에 한 네티즌은 “이것은 아주 나쁜 뉴스”라고 썼고, 또 다른 네티즌은 “중국은 왜 그렇게 미국을 두려워하는가”라고 꼬집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