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中 위상에 걸맞은 환율정책 펴야

입력 2010-06-20 17:54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조금 절상할 전망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위안화 환율 형성 시스템을 한 단계 더 개혁해 환율 유연성을 확대키로 했다고 그제 밝혔다. 국제사회는 일단 환영의 뜻을 나타냈지만, 그렇다고 큰 기대를 하기는 어렵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중국은 환율의 하루 변동폭을 제한하는 관리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실제는 달러당 6.82위안에 못 박은 고정환율제를 쓰고 있다. 인민은행은 이번 발표가 변동폭을 확대하겠다는 뜻은 아니라고 밝혔다. 결국 기존의 변동폭 안에서 조금 움직여보겠다는 것에 불과하다. 국제금융전문가들은 미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 환율이 기껏해야 3% 가량 절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진행되는 상황을 봐야겠지만, 이번 조치는 상징적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적지 않다. 국제사회의 위안화 절상압력을 누그러뜨리고, 특히 26일부터 캐나다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주요 의제로 부상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스처라는 분석도 있다.

어쨌든 환율에 있어서 귀를 막고 있던 중국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위안화 절상이 당장은 자국의 수출에 부정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득이 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가 많다. 위안화 구매력이 높아져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감안하면 해외투자 효용가치도 높아질 것이다. 수입물가가 내려 당면한 인플레 위험도 완화될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중국이 더 이상 국제사회의 책무를 회피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세계경제를 움직이는 양대 축이다. 그런 나라가 시장의 룰을 외면하고 자국 이기주의에 매몰되면 국가 이미지가 나빠져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중국은 이번 조치를 실효성 있게 추진하고 나아가 완전한 변동환율제로 전환해야 한다.

우리 기업들은 중국의 환율변화를 주시하면서 전략을 다듬어야 한다. 중국은 워낙 큰 시장인 만큼 미세한 움직임도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중국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국가가 바로 대한민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