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생명연장?… 야권·친박 “뚱딴지같은 소리”

입력 2010-06-17 18:18

여야가 이달 중 세종시 수정안을 국회 상임위원회에 상정, 표결처리키로 합의한 가운데 여권 지도부에서 갑자기 ‘본회의 상정론’이 제기되면서 수정안의 ‘안락사’가 늦어질 전망이다. 이런 움직임에 야권과 친박근혜계는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이군현 원내수석부대표는 본보와 통화에서 “세종시 수정안은 전국가적 사안이어서 원래는 국민투표로 처리를 결정하려 했던 사안”이라며 “상임위 소속 몇몇 의원이 국민 전체의 뜻을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상임위에서 수정안이 부결되면 본회의에 상정해 표결처리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수석부대표는 “본회의 상정은 친이계 일부의 요구가 아니라 지도부 회의에서 논의된 사안이라 당의 공식 입장으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국회법 87조에 따르면, 법안이 상임위에서 부결되더라도 의원 30명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본회의에 재부의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국토해양위원회 여야 간사는 일단 오는 22일 세종시 수정안을 상임위에 상정키로 했다.

전날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세종시 수정안을 6월 임시국회 회기 내 상임위에 상정해 처리키로 합의했었다. 합의내용을 두고 야권이나 여당 친박계에서는 수정안 관련법이 회부돼 있는 상임위 4곳 모두 반대파 의원들이 다수여서 사실상 상임위 차원에서 법안을 폐기시키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한나라당 정옥임 원대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상임위에서 부결되더라도 받아들인다는 취지”라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여권 주류에서 재적의원 291명 모두의 수정안 찬반투표 결과를 역사적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면서 본회의 상정쪽으로 기류가 급속히 달라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민주당은 발끈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아직도 그런 생각을 하는 게 민심을 모르는 것”이라며 “그런 일이 없어야 하고 언급할 필요도 없다”고 일축했다. 친박계 이정현 의원도 “역사에 기록을 남기자고 하는데 국민과의 (원안 추진)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린 정치인으로 기록을 남겨서 자신과 선거에 무슨 도움이 된다고 그런 오기를 부리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