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안보리 제재땐 군사적 대응할 터”… 유엔서 이틀째 천안함 외교전

입력 2010-06-16 18:30

천안함 사건을 놓고 남북한이 15일(현지시간)에도 유엔에서 계속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다.

우리 정부는 이달 안에 강경한 내용의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을 목표로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설득 작업에 들어갔다.

우리 측은 성명 내용에 북한을 지목해 공격행위를 규탄하고, 사과와 재발 방지 및 책임자 처벌이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중국은 북한을 명기하는 데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전날에 이어 유엔 회원국을 상대로 천안함 조사결과를 설명하고 반박하는 등 이틀째 대립을 이어갔다. 천안함 민·관 합동조사단은 안보리 이사국이 아닌 주요 20여개국 대사들을 한국 유엔대표부로 초청, 공개 브리핑을 가졌다. 참석한 대사들은 대체로 조사결과를 인정하는 분위기였다고 유엔 관계자는 전했다. 박정이 공동조사단장은 참석자들에게 “한국 측이 군사정전위를 통해 북한과 대화를 가지려 하고 있으나 북한 측이 응답하지 않고 있다”며 “북한은 이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국방위 검열단의 직접 조사만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선호 북한대표부 대사도 오전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조사결과는 날조된 것이며 소설 같은 얘기”라며 “한국과 미국이 이 사건으로 정치적 이득을 얻으려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의 지방선거 운동이 시작되는 날(5월 20일)에 조사 결과가 발표된 것을 지적하면서 “선거에서 북풍을 일으키려고 했지만 결과는 역풍으로 나타나 여당이 패배했다”고 말했다. 또 미국은 동북아에서의 군사적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이 사건을 이용했고, 결과적으로 미군의 오키나와 주둔 연장과 하토야마 정권 퇴진 유도를 이뤄냈다고 강변했다.

그는 안보리가 의장성명이나 결의를 채택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어떤 조치도 전적으로 거부할 것이며 후속 조치들은 우리 군이 수행할 것”이라고 말해 군사적 대응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발언들은 상투적 도발 행위처럼 들린다”고 일축했다. 이어 유엔과 국제사회가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하면서“우리는 한반도에서의 긴장 고조를 원치 않는다”고 덧붙였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