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3차 발사 8월 지나야 결론… 실제 발사 여부 불투명
입력 2010-06-16 18:26
한국 첫 우주 발사체 ‘나로호(KSLV-Ⅰ)’의 3차 발사 여부가 빨라도 8월 이후에나 결정될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 김영식 과학기술정책실장은 16일 기자 브리핑에서 “한·러 공동 실패조사위원회(FRB)에서 실패 원인에 대한 기술적 결론이 반드시 도출돼야 3차 발사 논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1차 회의를 개최한 한·러 FRB는 다음달 중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2차 회의를, 8월쯤 한국에서 3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조광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연구본부장은 “3차례 FRB 회의에서 실패 원인에 대해 양측 간에 합의되지 않으면 추가 회의가 몇 차례 더 열릴 수도 있다. 그러면 3차 발사 여부 및 시기에 대한 논의는 더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항공우주연구원은 하지만 3차 발사용 나로호 상단(2단)은 이미 제작돼 있으며, 한·러 간 협의만 되면 보관중인 상단의 사용 기한과 기능에 대한 점검, 발사대 유지 보수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 측의 이런 입장과 달리 나로호 3차 발사가 가능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계약상 러시아의 3차 발사 의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2004년 항우연과 러시아 흐루니체프사 간 체결된 계약서에 따르면 한·러 FRB에서 2회 발사 중 어느 하나가 발사 임무에 실패했다고 결론이 나면, 추가 발사를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이 있으며 러시아는 이를 수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김영식 교과부 실장은 “우리 측이 요청하면 러시아 측이 응하는 것이 국제 계약의 정신이지만 러시아가 (3차) 1단 발사체를 제공하지 않겠다면 다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다만 ‘계약 이행을 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 측에 지불하는 계약 금액(2억 달러)의 5%(약 1000만 달러)를 지급하지 않도록 계약서에 규정하고 있다’는 단서 조항을 공개했다.
그럼에도 3차 발사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마지막 장치는 소송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