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창원시, 구청에 권한 대폭 넘긴다… 분권 인사로 시너지 극대화

입력 2010-06-16 18:03

다음달 1일 공식 출범하는 통합 ‘창원시’는 지역균형 발전과 지역경제 회복,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기 위해 5개 구청에 권한을 대폭 위임하고 분권형으로 인력을 배치하게 된다.

통합 창원시는 관련법령과 행정안전부 통합 ‘창원시’ 기구설치 운용방안에 따라 박완수 통합 창원시장 당선자의 시정운영 방침을 반영, 기구와 정원, 운영 방안 등에 대한 윤곽을 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 창원·마산·진해 3개시의 18국 86과 365담당은 9국 43과 177담당으로 재편된다. 9국은 3급 또는 4급을 부서장으로 하는 기획정책실·균형발전실과 4급을 부서장으로 하는 행정국·경제국·환경국·문화체육국·주민생활국·도시교통국·건설국이다.

창원시는 균형발전실을 전면에 배치하고 균형발전실에 균형발전과, 도시디자인과, 도시재생과, 투자유치과, 부대이전과 등 5개 과를 두게 된다.

경제국에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일자리 창출과를 신설했으며 사회적 기업담당, 창업지원담당, 청년실업담당, 공공일자리담당을 두고 사회적기업 육성, 청년실업 해소 등에 주력할 계획이다.

마산지역 부흥을 위해 ‘워터프론트팀’ ‘창동시장팀’ ‘어시장팀’을 독립된 담당으로 두는 한편 진해지역에 대해서는 옛 해군 시설운전학부 개발을 위한 ‘시운학부팀’을 독립적으로 신설했다.

창원지역의 경우 2008년 정부가 선정한 ‘17대 신성장 동력산업’ 중 하나인 MICE 산업(국제회의, 인센티브관광, 컨벤션, 전시)추진을 위해 MICE팀을 신설하는 등 지역균형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무게를 뒀다.

통합 창원시민과의 소통을 위해 열린 시정담당, 직소 민원담당을 신설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행정 효율성과 주민접근성 등 행정서비스 확대 문제로 논란이 많았던 행정구청 수는 지난 7일 행정안전부 5개 구청 설치 승인으로 일단락됐다”며 “창원시는 기본적으로 구청 기능 강화에 초점을 맞춰 시장 권한을 대폭 구청장에게 위임, 주민 접근성과 다양한 의견 수렴을 쉽게 하는 등 주민 서비스 수요 충족에 기여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