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억원 맡긴 천안함 용사 어머니의 심정
입력 2010-06-15 17:52
서른 넷, 채 피지도 못한 꽃다운 청춘을 조국에 바친 천안함 용사 고 민평기 상사의 어머니 윤청자씨가 성금 1억원을 청와대에 기탁했다. 국민성금 중 일부다. 윤씨는 그제 이명박 대통령이 국가유공자와 천안함 전사자 유족 등을 초청해 마련한 청와대 오찬에 앞서 “우리 영해와 영토를 한 발짝이라도 침범하는 자들을 응징하는 데 사용해 달라”며 성금을 전달했다고 한다. 그 아들에 그 어머니다.
생활이 넉넉지 않다는 윤씨에게 1억원은 적은 돈이 아니다. 그런데도 윤씨는 흔쾌히 거액을 국가에 내놓았다. 힘을 한데 모아도 북한 만행으로 잃은 금쪽같은 막내아들의 원통함을 풀기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천안함 조사결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재조사를 요구하는 편지나 유엔 안보리에 보내는 참여연대와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통사)’ 등 일부 시민단체의 반국가적 행태를 보면 그럴 수밖에 없는 어머니의 심정을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
천안함 사건 이후 안보의식이 높아졌다. 말로는 누구나 안보를 걱정할 수 있다. 하지만 안보를 보장하는 건 말이 아닌 행동이다. 윤씨는 걱정에 그치지 않고 실천에 옮겼다. 국민 대다수가 윤씨 같다면 국가 안보는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윤씨의 의행(義行)은 말 따로, 행동 따로 정치인에 대한 경고다. 오죽하면 윤씨가 “정치하는 사람들이 안보만큼은 하나 된 목소리를 내 달라.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하지 말고 국가와 국민을 위한 안보를 해 달라”는 편지를 청와대에 보냈을까.
윤씨는 스스로를 ‘자식새끼 하나 지키지 못한 죄 많은 어미’라고 했다. 벌을 청할 죄인은 윤씨가 아니다. 천안함 사태 발생 100일이 다 되도록 대북결의안조차 채택하지 못한 정치권, 초기 대응에 실패하고도 당당한 군 지휘부, 북한 주장에 부화뇌동하며 사회질서를 어지럽히는 일부 몰지각한 시민단체들이 죄인이다. 이런 죄인들이 활개를 치니 윤씨가 “이것저것 생각하면 할수록 분통이 터지고 억장이 무너진다”고 하는 것이다. 국회는 즉각 대북결의안을 채택하고, 시민단체는 국민 앞에 용서를 구하라. 그것이 아들을 조국에 바친 모정에 조금이나마 보답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