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안보리 서한’…정부 “이적행위” 발끈

입력 2010-06-15 04:07

참여연대가 지난 11일 우리 정부의 천안함 침몰 원인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서한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보낸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참여연대는 20여쪽의 영문 문건에서 “물기둥에 대한 설명에 설득력이 없고 생존자나 사망자의 부상 정도가 어뢰 폭발에 합당한지 설명이 부족하며, 절단면에 폭발 흔적으로 볼 만한 심각한 손상이 있는지 설명이 없다”고 밝혔다. 또 연어급 잠수정의 실체를 수일간 추적하지 못한 점, 어뢰 발사를 감지하지 못한 점 등을 의문점으로 지적했다.

천안함 외교에 총력전을 펴던 정부는 발끈했다.

정운찬 총리는 14일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그분들이 어느 나라 국민인지 의문이 생겼다”면서 “애국심이 있다면 그럴 수 없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어 “이번 조사는 여러 나라와 민·군이 모여 열심히 조사한 것”이라며 “그런 것들을 안 믿고 자꾸 의혹을 제기하면 이 나라가 어떻게 움직이겠느냐”고 반문했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참으로 답답하고 안타까운 일”이라며 “도대체 이 시점에 무슨 목적으로 이런 일을 벌이는 것인지 정말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우리 정부가 기울이고 있는 외교 노력을 저해하는 것으로서 극히 유감스러운 행동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외교 당국자는 “명백한 이적행위”라며 “북한이 안보리에서 정치적으로 악용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는 “15일 새벽으로 예정된 민·군 합동조사단의 유엔 안보리 천안함 브리핑을 앞두고 발생한 돌발악재”라며 “시민단체로서 도를 넘어선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보수단체인 봉태홍 라이트코리아 대표는 “검찰에 서한 발송에 대한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참여연대는 “시민단체가 유엔 등 국제사회에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 “참고자료로 활용하라는 의미에서 안보리에 보낸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론을 분열하기 위한 행동은 아니었다”면서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서한을 보냈다”고 해명했다.

하윤해 전웅빈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