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의장, “술 마셨지만 만취 아니다, 문서 조작하지도 않았다”… 정면 반발
입력 2010-06-14 18:20
전역지원서를 낸 이상의 합동참모본부 의장이 14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천안함 사건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 결과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의장은 “술을 마신 것은 인정하지만 지휘를 못할 정도로 취한 것은 아니며 문서를 조작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또 김황식 감사원장이 형사처벌을 거론한 것에 대해서도 적절치 않은 발언이었다고 비판했다.
감사원이 사건 발생 다음날인 3월 27일 새벽 이 의장이 국방부 지휘통제실을 비웠음에도 계속 있었던 것처럼 서류(합참의 단편명령 제10-37호: 전군 군사대비태세 강화)를 꾸몄다고 지적한 데 대해 이 의장은 “3시간 정도 집무실에서 휴식을 취했다”며 “이탈의 개념은 역내를 벗어나는 것인데 집무실은 국방부 청사 내에 있고 지통실보다 더 많은 통신장비가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2급 비밀문서인 이 서류의 표지를 기자들에게 보여주며 “합참 작전본부장이 전결하고 제가 사후 결재한 이 문건은 합참 예규에 따른 정상적인 조치로 조작한 것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는 특히 “개인적인 명예가 걸린 문제에 일체의 소명 기회가 주어지지 않은 채 언론에 보도됐다”며 “이는 저의 군생활의 급소를 찌른 것으로 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문제는 전역 후에도 끝까지 단호하게 대응하겠다. 오늘 관련 보도에 대한 명예훼손 고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의장은 또 “감사원장이 국회에서 12명의 형사처벌을 언급한 것은 잘못 이야기한 것”이라며 “처벌 여부는 국방부 장관에게 위임된 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감사 결과에 대해 토론해보자는 내용의 서한을 감사원장에게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감사원은 공식 대응을 자제했다. 그러나 불편한 기색까지는 감추지 않았다. 감사원 관계자는 “감사 결과는 사실에 근거한 것”이라며 “내용 자체가 군사기밀이 될 수 있어 사람마다 밝히지는 않았지만 감사원이 징계를 요구한 25명의 행위 중 군 형법상 죄가 될 수 있는 부분은 확실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 의장이 감사원장에게 토론을 제의한 것에 대해서는 “서한을 읽어본 뒤 판단해 보겠다”고 밝혔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