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참여연대는 어느 나라 단체인가
입력 2010-06-14 17:45
참여연대가 14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에게 천안함 폭침과 관련해 “한국정부의 조사에 의혹이 많으니 안보리 대북 제재에 신중을 기해 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두 달에 걸쳐 외국전문가들까지 참여해 내린 결론이고, 국제적 인정은 물론 국민의 대다수가 신뢰하는 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니 도대체 어떤 증거가 더 나와야 수긍할지 알 수가 없다.
더욱이 나라 안에선 왈가왈부가 있을 수 있지만 국제외교무대에까지 서한을 보내 정부의 노력에 딴죽을 거는 일은 도저히 정당한 NGO활동이라고 보기 어렵다. 당장 천안함 한국 민관 합동조사단의 유엔 안보리 상대 브리핑 등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 뻔하다. 국익을 해치고 나라 망신을 자초한 행위라는 비난을 들어도 마땅하다.
한상렬 진보연대 상임고문이 정부의 허가 없이 방북한 것도 명백히 잘못된 일이다. 그는 지난 12일 평양 도착 후 “역사적 6·15 선언 채택은 북남대결을 끝내고 평화시대를 연 사변”이라며 이를 기념하는 남북 공동행사를 막은 남한 정부를 맹비난했다. 가뜩이나 남남 갈등 조장에 혈안이 되어 있는 북한 측 전술에 그대로 말려들어 동조한 무책임한 행위가 아닐 수 없다.
6·15 공동선언은 한반도 역사가 냉전에서 탈냉전으로 바뀌는 전환점이 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의의는 이제 빛이 바랬다. 원인을 제공한 것은 북한이다. 햇볕정책 와중에도 북한은 핵개발을 계속했고,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망사건 조사에도 비협조적이었다. 그 결과 금강산 관광 사업은 중단됐고 최근엔 천안함 폭침으로 남북한 간 긴장을 극대화했다. 이런 상황에서 6·15 10주년을 기념한다며 불법 방북해 남한 정부만 일방 비난하는 것은 심히 잘못된 일이다.
천안함 사건과 지방선거 이후 북한은 우리사회 흔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서울 불바다’ 운운하며 남한의 민심을 불안에 빠뜨리고 교란시키려는 움직임이 노골적이다. 이런 때일수록 사회 내부의 단결이 공고해져야 함은 물론이다. 깨어있는 국민의식만이 북한의 책동을 분쇄하고 내부 갈등을 조장하는 인사와 단체들의 망동을 제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