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 유출입 변동완화’ 전문가 분석… “환율 변동성 줄일 적절 처방” 평가

입력 2010-06-13 18:43

정부가 13일 내놓은 ‘자본 유출입 변동완화 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은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 경제시스템에 시급한 조치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자본통제 추세에 함께 움직이는 만큼 자본유출과 환율급변 등 시장 충격도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대외개방성이 높은 우리나라는 환율 급변동 등 때문에 더 큰 충격을 받고 있다”면서 “세계적으로 자본통제에 관한 논의가 이뤄지는 요즘 한국이 규제를 도입하는 것은 적절하며 중·장기적으로 환율의 변동성도 줄어들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양대 박대근 교수는 “이번 선물환 규제는 수량 규제인데, 앞으로는 은행세 등 가격 규제도 펴야 경제 현상이 왜곡될 소지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정영훈 한화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미 지난주 시장에 외환유동성 규제 소식이 알려졌고, 유예기간이 있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에도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본다”면서도 “다만, 당분간 시장참여자들이 조심스런 반응을 보일 것인 만큼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서명석 동양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외국은행 국내 지점의 한국 시장에 대한 선호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며 “제한을 받더라도 아시아에 한국만큼 메리트가 큰 시장이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외환시장 일각에서는 이번 대책의 효과에 의문을 표시했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현재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주 요인은 선물환보다는 외국인들이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고, 이를 팔아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점”이라며 이번 대책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외환전문가도 “은행의 단기외채를 줄일 수 있을지는 몰라도 외환변동성 완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은지점의 선물환 포지션 비율을 250%로 규제하면 해외 투자자들이 외은지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국내로 들어와 채권 등에 직접 투자할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겉으로만 은행권 단기외채가 줄어들고, 외국투자가 늘어나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김아진 김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