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총리 “인사보다 정책쇄신”…22일쯤 이 대통령 만날 듯
입력 2010-06-11 21:16
여권 쇄신 회오리에 휘말린 정운찬 국무총리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정 총리는 11일 언론과의 접촉에서 여권 내 쇄신 움직임을 둘러싼 갈등 기류에 대해 “자기네끼리 그러는데, 뭐…”라고 했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과의 독대 불발 이후 갖가지 억측이 나오자 편치 않은 마음이라는 게 측근들의 전언이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쇄신 논란이 어떻게 귀결되느냐에 따라 정 총리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쇄신론 지지로 상당히 기운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와 친한 여권 인사들이 연일 쇄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 하지만 심정적 지지가 실제 행동으로 옮겨질지는 미지수다. 특히 정 총리가 인적 쇄신에 다시 팔을 걷어붙일 가능성은 현재로선 낮아 보인다는 게 주변의 전언이다.
이 대통령과의 관계도 고민이다. 여권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정 총리의 품성으로 볼 때 이 대통령과의 독대가 성사됐다 하더라도 인적 쇄신안을 건의하지 않았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래서 정 총리가 앞으로는 정책 쇄신, 즉 정부의 정책 추진 변화에 더욱 역점을 둘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총리실 관계자는 “정 총리가 세종시와 4대강 등 국정 기조의 틀은 유지하되 여론을 귀담아 듣지 않는 일방통행식 정책 추진은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총리실은 인적 쇄신을 둘러싼 논란 확대를 막기 위해 정 총리가 자연스럽게 이 대통령을 만나 정책협의를 하는 모양새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주는 국회 대정부 질문으로 청와대 주례 회동이 없다고 한다. 이에 따라 22일쯤 정례 회동 형식을 통해 이 대통령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청 갈등이 지속되면 정 총리가 인적 쇄신을 포함한 과감한 개혁안을 승부수로 던질 것이란 관측도 없지 않다. 여권 관계자는 “더 멀리 보면 정 총리의 정치적 우군은 쇄신을 지지하는 친이 직계와 여권 내 초재선 의원 그룹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정 총리도 이 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