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잔해 수거… 원인·책임 규명 속도 낼듯

입력 2010-06-12 00:07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Ⅰ)의 폭발사고 원인에 대한 한·러 공동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이에 따라 원인규명과 책임소재도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러시아와 공동으로 실패조사위원회(FRB·Failure Review Board)를 1차 회의를 14일 열어 폭발원인을 규명하고 3차 발사 여부도 논의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위해 러시아 측 전문가 10여명이 한국에 계속 체류하기로 결정했다. 러시아 측은 현재 제주추적소에서 자체 수집한 나로호 1단 비행 데이터를 검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해군은 제주도 남단 공해상에서 나로호 잔해로 추정되는 구조물 2점을 수거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인도했다. 파편 낙하지점도 최종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폭발 지점과 시간 등을 고려할 때 러시아가 제작한 1단 발사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고책임도 러시아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의 잘못으로 3차 발사가 이뤄진다 해도 제반 비용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아 실제 발사까지는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1차 발사 때와 별도의 FRB 구성=지난해 1차 발사가 실패한 뒤 한·러 양측은 실패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몇 차례 FRB를 개최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1차 발사가 실패인지, 성공인지는 결론짓지 않았다. 이번 2차 발사를 끝내고 FRB를 다시 연다는 계획이었다. 2차 발사와 관련, 한·러 간 FRB는 1차 발사 때와는 별도로 구성될 예정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1차 발사 실패의 원인과 2차 발사 실패의 원인이 다른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FRB 구성 전문가들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또 한·러 FRB와는 달리 국내 전문가들로 구성된 ‘나로호 2차 발사 조사위원회’를 따로 구성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1차 발사 실패 후에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이인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페어링 미분리 원인 파악 등의 활동을 벌인 바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주말을 거치면서 최종 구성 여부 등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3차 발사 가능해도 난제 많아=애초 나로호 개발 프로젝트는 사업기간이 2002년 8월에서 2010년 10월로 잡혀 있다. 총 사업 예산은 5025억원이다. 3차 발사가 진행될 경우 러시아 측은 별도의 추가 비용으로 1단 로켓을 제작해 우리 측에 제공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단 고체 로켓과 ‘세 번째 과학기술위성 2호’를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추가 비용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비용과 관련한 문제를 러시아 측에 강제할 수 있을지에 대해 우리 정부조차 아직 명쾌한 설명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또 과학기술위성 2호는 2002년 개발 초기 단계에 2번의 나로호 발사를 고려해 2대가 제작됐다. 100㎏급인 과학기술위성 2호는 136억5000만원이 투자됐다. 과학기술위성 2호를 만든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현재 제작 중인 과학기술위성 3호를 탑재하는 방법도 있지만 과학기술위성 2호가 100㎏급인 데 비해 3호는 150㎏급”이라면서 “3차 발사가 이뤄진다 하더라도 더 무거운 과학기술위성 3호를 발사하려면 나로호의 추진력을 늘리는 등 다소 복잡한 설계변경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럴 경우 최소 1년간은 3차 발사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