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DMZ 화천지역 새 국립공원 ‘1순위’
입력 2010-06-12 00:08
2012년까지 국립공원이 2곳 이상 추가로 지정된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11일 국립공원 지정이나 전환을 공약으로 내건 자치단체 후보들이 당선됨에 따라 지자체의 국립공원 지정요청을 가급적 수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광주시가 관리하는 무등산도립공원과 비무장지대(DMZ) 중 강원도 화천군 구역이 국립공원 전환 또는 신규 지정 가능성이 가장 높다. 환경부 고위 관계자는 “도립공원은 행위제한이 국립공원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전환에 따른 반대여론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운태 광주시장 당선자는 지난달 12일 “광주의 랜드마크인 무등산을 2012년까지 국립공원으로 승격시키겠다”며 “시장에 당선되면 곧바로 타당성 조사 등 행정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공약했다.
DMZ 화천군 구역도 유망하다. 정부는 화천 양구 철원 인제 등 강원도 내 DMZ 보전방안을 수립 중이다. 이 가운데 화천군수와 군민들이 국립공원 지정에 적극적이다. 군 관계자는 “국립공원 대상 부지 대부분이 민간인출입통제선 안쪽이어서 사유지가 없다”고 말했다.
환경부 최종원 자연자원과장은 “DMZ 보전방안 부처협의가 다음달 말 끝나는 대로 화천군 DMZ와 인근지역의 국립공원 지정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관계자는 “화천군의 경우 DMZ와 민통선 안팎의 백암산 두타연, 철원 접경 적근산은 물론 양구군 펀치볼과 인제군 대암산 용늪을 동서로 잇는 지대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300㎢에 이르는 상당히 큰 국립공원이 탄생한다. 이는 국내 국립공원 가운데 5위인 오대산국립공원과 비슷한 규모다.
정연만 자연보전국장은 “각 자치단체의 국립공원 지정요구를 적극 환영한다”면서 “몇몇 명소는 환경부가 공원 지정 움직임을 적극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공원 지정 요건을 갖춘 곳은 각종 규제로 개발이 제한돼 주민이 반대하고, 주민이 나서는 곳은 요건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2004년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했다가 주민의 반대로 무산된 태백산도립공원과 울릉도가 전자라면 경남 가지산도립공원은 후자의 경우다.
최 과장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려면 적정한 규모, 빼어난 경관, 우수한 생태계, 공원으로서의 품격, 생태계 핵심지역의 사유지 미포함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남 창녕군 우포늪과 화왕산, 부곡온천 일대의 경우 “너무 분산돼 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주민들도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 가지산도립공원은 사유지가 너무 많아서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우리나라는 19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현재 20개 국립공원이 지정돼 있다. 마지막 지정 사례는 1988년 변산반도와 월출산이다. 국립공원 제도를 갖춘 나라의 국토 대비 국립공원 면적은 대체로 5∼6%인 반면 우리나라는 3.9%(바다 제외)에 불과하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광주=장선욱, 화천=정동원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