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당선 축하금, 전남도교육청 뿐일까
입력 2010-06-10 19:06
교육청 간부와 교장들이 당선 축하금 명목으로 돈을 건네려 했다고 장만채 전남도 교육감 당선자가 공개했다. 장 당선자는 지난 9일 “당선 직후 도교육청 일부 간부와 몇몇 교장이 선거 사무실 등으로 찾아와 돈 봉투를 내밀었으나 거절했다”고 밝혔다. 일부는 선물이라며 놔두고 가서 나중에 뜯어보니 돈 봉투가 들어있어 당사자를 불러 돌려줬다고 한다. 그들이 돈 봉투를 자연스럽게 내미는 것으로 봐서 새 교육감에게 당선 축하금을 건네는 것이 관행이었던 것 같다고 장 당선자는 덧붙였다.
정말 믿고 싶지 않은 충격적인 얘기다. 아무리 교육계에 비리가 만연한다고 해도 이렇게 적나라한 수준인지는 몰랐다. 공정택 전 서울시교육감과 교육청 간부, 일부 교장들의 뇌물수수 비리가 드러나 사회적 지탄을 받은 게 바로 엊그제인데, 금방 선거를 마친 교육감 당선자에게 돈 봉투를 건네다니 우리가 정상적인 사회에 살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더구나 교육계는 어느 분야보다 깨끗해야 하는 곳이다. 어찌 보면 그럴 것으로 믿고 방치한 결과 교육계를 비리 온상으로 키웠는지 모를 일이다.
당선 축하금이 관행이었다면 이는 전남도교육청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다. 다른 곳에서도 그런 일이 있었는지 교육감 당선자들은 밝혀야 한다. 장 당선자가 부패척결을 내세운 진보진영 단일후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거리낌없이 봉투가 건네졌다면 타 지역에서도 같은 일이 있었을 개연성은 상당히 크다. 각 당선자들은 그런 일이 우연히 전남에만 있는 일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이번에 돈 봉투를 전달하려 한 공직자는 반드시 인사상 책임을 물을 계획이라고 장 당선자는 밝혔다. 꼭 그렇게 해야 한다. 관행이었다는 이유로 어물쩍 넘어가는 온정주의가 조금이라도 남아있으면 비리는 그 영양분을 먹고 다시 자란다. 간부들 가운데 일부가, 관내 교장 가운데 일부가 건넨 봉투를 관행이라고 할 수도 없다. 검찰에 고발해서 형사처벌할 수 있는지도 검토해야 한다. 뇌물과 관련해서는 가혹하리만큼 처벌해야 정직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