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요지부동’ 러 ‘미적미적’… 천안함 안보리 논의 잘될까
입력 2010-06-10 18:27
천안함 사건에 대한 유엔 안보리 논의가 지지부진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안보리의 최대 현안이었던 이란 제재 결의안 채택이 10일 마무리되면서 이제 천안함 문제가 본격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소극적으로 나오면서 논의 자체가 힘을 받지 못하고, 결과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먼저 중국이 요지부동이다. 천영우 외교통상부 제2차관이 8일부터 이틀간 베이징을 방문, 설득작업에 적극 나섰지만 뚜렷한 입장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고위 외교소식통은 10일 “유익한 협의를 가졌지만 앞으로 협의할 게 많다”고 말해 당장의 성과는 없음을 시사했다. 중국은 가장 낮은 대응수위인 의장성명으로 가더라도 북한을 특정하거나 규탄하는 것 자체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가 기대했던 러시아의 태도도 심상치 않다. 러시아는 천안함 침몰 원인과 관련한 자체조사 결과를 다음 달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러시아 관영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아나톨리 세르듀코프 국방장관은 9일 연방의회(상원)에서 열린 비공개 안보회의에서 “러시아 전문가팀이 한국에서 천안함 잔해와 어뢰 파편을 갖고 돌아왔다”면서 “침몰 원인을 확정하는 데 한 달 정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부 러시아 언론매체들은 군 고위 관계자와 조사에 참가했던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 러시아 조사팀이 ‘천안함 침몰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의 발표가 나올 때까지 안보리 논의 자체가 유보되면서 동력 자체가 소진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미국도 초기 초강경 모드에서 한걸음 물러나는 모양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가 최근 정례브리핑에서 “강력한 성명(strong statement)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힌 것은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이 아닌 의장성명을 염두에 둔 것이란 해석이다. 신선호 유엔 주재 북한대사가 9일 안보리 논의에 앞서 북한 국방위 검열단의 천안함 조사결과 확인이 선행돼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안보리 의장에게 보낸 것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이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