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한·중·일 공조체제 만든다
입력 2010-06-09 21:49
이르면 오는 11월부터 황사 예방과 조기 경보를 위한 한·중·일 국제공조 체제가 구축될 전망이다.
소방방재청은 11월 초 서울에서 개막되는 ‘제4차 유엔 재해경감 아시아 62개국 각료회의’에서 황사 예방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루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3개국 간 황사 재해방지 공조 체제가 마련되면 겨울과 봄철 황사 발생 시기를 좀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황사 확산 속도와 피해 범위 등을 사전에 예보하는 시스템이 갖춰지게 된다.
이를 위해 한·중·일 3국은 기상관측 데이터와 위성자료 등을 공유하고 황사 발생시 예상되는 피해에 대한 공동 구조 체제도 모색할 예정이다. 현재 3개국은 우리 기상청이 기상 정보를 필요로 할 경우 협조를 구하는 부분적인 형태로만 이뤄지고 있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군사시설 위치 노출 등을 우려, 기상 위성자료 공유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3개국 간 논의를 통해 실무적인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황사 피해가 가장 극심한 3∼4월에는 미국 서부해안 지역에서도 해안풍을 타고 온 중국의 황사가 발견된다”며 “이번 논의에 미국 측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시아 국가 재해 관련 최고위 각료와 업저버 국가, 월드뱅크 등 유엔 기구가 참가하는 이번 회의에서는 아시아권 전체의 기상예측 정보를 통합·공유하는 단일 기상정보 체제 구상도 의제로 다뤄진다.
이와 함께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에 따른 재해에 대한 국가 간 공동 연구와 재해방지 및 구조 대책 문제도 현안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또 우리 첨단 정보통신(IT) 기술로 개발된 ‘재해예측 분석 시스템과 지진피해 예측 시스템’을 인도네시아 중국 방글라데시 인도 등 재해 다발 아시아 국가에 무상 보급하는 문제도 논의될 예정이다.
소방방재청은 10일 24개 아시아국 주한 대사들을 초청, 이번 회의 개요와 절차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