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 감투 자랑이나 할 때 아니다

입력 2010-06-08 17:48

18대 국회 후반기를 이끌고 갈 의장단이 어제 선출됐다. 박희태 신임 국회의장은 당선인사에서 “국회가 이대로는 안 된다. 변해야 한다는 것이 국민 다수의 뜻으로 국회에 변화의 새바람을 일으켜야 한다”고 했다. 또 “국회가 국회답지 못하면 국민으로부터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국민의 다양한 생각과 분쟁을 해결하는 장으로서의 국회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백번 옳은 얘기다.

그러나 국민에게 비친 국회 모습은 언제나 정반대였다. 18대 전반기 국회가 대표적이다. 사상 최악의 공전 사태와 세계의 웃음거리가 된 해머, 전기톱 폭력 사건, 최장 국회 농성 등 18대 전반기 국회는 각종 불명예로 얼룩졌다. 미디어법 등 쟁점 입법을 둘러싼 여야의 극한 대치로 민생은 설 자리를 잃었다. 여야가 서로를 국정 운영의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고 타도 대상으로 여긴 탓이다.

후반기마저 이래선 안 된다.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상생(相生)의 길을 찾아야 한다. 이는 국민들이 지방선거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뜻이기도 하다. 역지사지의 자세로 패러다임을 확 바꿔야 변화된 민심의 흐름을 따라갈 수 있다.

오랜 기간 허송하는 바람에 국회엔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그런데도 사건 발생 두 달이 지나도록 천안함 관련 대북 결의안 문제조차 매듭짓지 못하고 갑론을박하는 것은 볼썽사납다. 대북 결의안을 채택하자는 한나라당 요구에 대해 민주당은 아직도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며 ‘한반도 평화수호 결의안’ 제출을 검토하는 등 딴죽을 걸고 있다. 선거가 끝났는데 이토록 대북 결의안 채택에 부정적인 민주당의 태도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대규모 국책 사업인 4대강 사업과 세종시 수정 문제는 시급히 갈무리해야 한다. 특히 세종시 문제는 서둘러 출구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선거구제 및 행정구역 개편, 개헌 등 사회 통합을 위한 제도 개혁 또한 이번 국회가 짚어야 할 핵심 과제다. 여야가 소명의식을 갖고 제도 개혁을 완성한다면 18대 국회는 성공한 국회로 역사에 우뚝 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