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당선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 연기 시사… 대전 ‘엑스포 재창조’ 수정 불가피

입력 2010-06-08 22:49

아파트 건립 문제로 논란이 돼 온 대전 과학공원 재창조 계획이 전면 연기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당초 오는 16일까지 민간 사업자의 엑스포 재창조 계획 참여의향서를 제출받고, 이달 말까지 우선 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었다.

염홍철 대전시장 당선자는 당선 이후 “(현 시장은) 낙선 후 (남은 임기인) 한 달은 할일이 있어도 자제할 시기로 대전의 운명을 결정할 일을 그 시기에 결정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엑스포 재창조와 관련된 문제를 연기해 줄 것을 에둘러 말했다.

염 당선자는 후보자 시절에도 기자회견를 통해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진행 중인 엑스포 재창조 사업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면서 “엑스포 과학공원에 IT·BT·NT, 우주공학 등이 결합된 ‘인터내셔널 사이언스 타워’ 건립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었다.

그는 7일 대전시로부터 첫 현안 업무보고를 받고 엑스포재창조 계획에 대한 내용을 청취했다. 당초 14일부터 현안 업무 보고를 청취할 계획이었으나 이달 중 진행되는 재창조 계획 사안의 시급성을 이유로 가장 먼저 챙긴 것이다. 이런 점에 미뤄 엑스포 재창조에 대한 일정은 어느 정도 수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 내부에서도 “엑스포 재창조 계획에 대해 염 당선자의 의중이 확고하고 예산이 세워지는 등의 확정된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수정이 되지 않겠냐”는 의견이 우세했다. 다만 “이미 공고까지 나가고 몇몇 기업들의 경우 구체적인 참여 계획을 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없던 일’로 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일정 부분의 정주 시설을 허용하지 않으면 막대한 자금이 들어가는 엑스포 재창조 계획에 민간의 참여를 유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것”이라는 견해도 제시됐다.

이 사업은 정주시설의 허용 문제 때문에 특정 업체에게 특혜를 주기 위한 사업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왔다. 엑스포 과학공원은 ‘국민과학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이 같은 규정 해석도 ‘아파트를 지을 수 있다’ ‘아파트를 지을 수 없다’ 등 다양하게 제시돼 논란을 야기했다.

염 당선자는 “행정의 일관성과 그동안 주장해 왔던 얘기가 조화되는 범위 내에서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