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팎 요구 ‘인적쇄신’ ‘정책변화’… 대통령의 선택은?
입력 2010-06-07 18:40
6·2 지방선거 이후 제기되는 인적 쇄신과 정책노선 변화 여부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 대통령의 선택에 따라 약(藥)이 될 수도, 독(毒)이 될 수도 있다. 임기 중반에 접어든 이 대통령은 재임 중 의미 있는 선거를 세 번 치렀다. 취임 직후 치른 2008년 4·9 총선, 2009년 4·29 재·보선, 그리고 지난 6·2 지방선거다. 첫 번째 선거 결과는 한나라당의 압승이었고, 나머지 두 선거는 참패였다.
◇18대 총선 후 촛불시위=이 대통령은 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한 지 13일 만에 한나라당 총선 당선자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을 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전례가 없었던 승리이자 역사에 없는 절대적 지지”라고 선거를 평가했고, “내가 대통령이 된 이상 경쟁자가 없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자신감은 4월 18일 한·미 쇠고기 협상 타결로 인한 촛불 사태로 이어졌다. 결국 이 대통령은 선거 승리 두 달 뒤인 6월 쇠고기 파동에 사과하고 류우익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비서진을 대부분 교체해야 했다.
◇4·29 재·보선 뒤 친서민 중도실용=한나라당은 지난해 4·29 재·보선에서 0대 5의 전패를 당했다. 당내 소장파들은 당·정·청 인적쇄신론을 들고 나왔지만 청와대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선거 다음날 이동관 대변인은 “좌고우면하거나 흔들리지 않고, 나무를 심는 심정으로 나가겠다는 것이 대통령의 의지”라고 브리핑했다. 청와대 개편은 4개월이 지난 8월 말 소폭에 그쳤고, 9월에야 정운찬 총리가 임명됐다. 이 대통령은 대신 노무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겪으면서 친서민 중도실용 노선을 꺼내들었다. 중도실용 노선은 20%대에 불과하던 이 대통령의 지지율을 50% 안팎까지 끌어올린 1등 공신으로 평가됐다.
◇6·2 지방선거 뒤…정책 변화와 젊은 리더십(?)=청와대 내부에서는 조속한 인적쇄신론이 가라앉는 분위기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7일 “선거 결과를 냉정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2006년 지방선거처럼 여당이 싹쓸이 패배를 당한 것도 아니며, 현 정부의 경제 살리기 노선 자체가 부정된 것은 아니라는 평가다. 때문에 정책적인 면에서 경제 살리기 과정에서 소외당한 계층에 대한 배려와 집중, 세종시와 4대강 속도조절론이 등장하고 있다. 인사에서는 40대와 50대 초반 테크노크라트들을 기용하는 젊은 리더십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무조건 젊은 게 아니라 가치와 비전을 갖춘 젊은 리더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정책이 지난해처럼 ‘효과’가 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강하고, 젊은 리더십 역시 인물난에 시달릴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했지만 지방선거 결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