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아시아 재정위기때 EU방식 지원”

입력 2010-06-07 18:33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유럽연합(EU)의 재정안정 메커니즘(ESM)에 지원하듯이 아시아에서 비슷한 사태가 일어나면 같은 방식으로 지원해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정부 과천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 주말 부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IMF 총재가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EU는 지난달 9일 브뤼셀에서 열린 긴급 재무장관 회의에서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 재정위기 확산 방지를 위해 대출과 지급보증을 지원수단으로 하는 5000억 유로 규모의 ESM을 구축하기로 합의했으며 IMF도 여기에 2500억 유로의 차관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윤 장관의 이 같은 언급에도 불구하고 IMF는 기존의 국가별 지원 원칙을 바꾸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ESM도 형식상으로는 국가별 지원 형태가 될 것이라는 점을 윤 장관도 시인했다.

에너지 보조금 문제의 경우 중국은 거부했는데 선진국이나 신흥개도국에서는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많았고, 은행분담금은 선진국끼리 의견이 엇갈려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했다.

국제신용평가사나 헤지펀드 문제도 유럽은 강하게 하자는 입장인 반면 미국은 너무 세게 하면 시장이 위축된다며 상충된 의견을 피력했다고 윤 장관은 전했다.

그만큼 주요 이슈마다 견해차가 커 조율이 쉽지 않았다는 얘기다.

윤 장관은 유럽 재정위기와 관련, “겉으론 단합이 돼 있는데 (내부) 갈등이 굉장히 많다”며 “유로 발족 10년인데 체제 내부적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특히 헝가리의 디폴트(채무 불이행) 우려 논란에 대해 “헝가리 총리가 전임 정부를 공격한 건데 자기 발등 찍은 것이고 부부싸움이 밖에 알려지면 집안 전체가 똑같은 취급을 받는다”며 “우리도 국내 문제를 국제 문제보다 우선하는데 이 사태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