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인적쇄신 놓고 갈등… 靑 “7·28 재보선 이후 가능”
입력 2010-06-07 00:18
청와대가 6·2 지방선거 패배 직후 여당 일각과 민주당 등 야권에서 제기된 청와대와 정부의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인적 쇄신 요구와 관련, 내달 28일 치러지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입장을 6일 내놨다. 아울러 야당들이 중단을 요구한 세종시 수정안과 4대강 사업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수정’보다는 ‘신중한 검토’에 무게를 실었다.
그러나 한나라당 초선 의원 23명은 이날 청와대 참모 책임론을 거론하며 당·정·청에 대한 ‘정풍운동’ 수준의 대쇄신을 요구하고 나서 여권 내부 논란이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 개편은 7·28 재·보선 이후 이뤄질 가능성이 높고, 내각 개편은 더욱 그렇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 철학은 국면 전환을 위한 깜짝 인사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개각에 대해 “(이 대통령은) 내각에 선거 결과 책임을 물을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그래서 대통령이 3일 정운찬 국무총리를 불러 ‘흔들리지 말라’고 지시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 관계자는 “선거 결과에 너무 우왕좌왕할 필요는 없다. 바람만 쫓아다니는 것은 국정을 책임지는 자세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세종시와 4대강 사업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현재 리뷰(점검)하고 있는 단계다. 내부적으로 여러 가지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바꾸겠다거나 바꾸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차분하게 생각해 보겠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러한 청와대 입장과 관련, 한나라당 정태근 의원은 “한나라당부터 변해야 하지만 전체적인 국정 쇄신을 위해서는 청와대, 정부도 모두 개편해야 한다는 게 초선 의원들의 공통된 입장”이라며 “청와대와 정면으로 부딪치는 한이 있더라도 당이 정국을 제대로 이끌어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핵심 당직자도 “지방선거 민심에 상관없이 기존 방향대로 가겠다는 의사 표시로 보인다”며 “국민들은 변하지 않는 이 대통령에게 절망할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했다.
남도영 노용택 기자 dynam@kmib.co.kr